조선왕릉(朝鮮王陵)
조선왕릉(朝鮮王陵)은 1392년 고려 멸망 후부터 조선왕조가 멸망한 1910년까지 519년 동안의 조선 시대 역대 왕들의 무덤이다. 역대 왕조의 왕릉 중 보존 상태가 가장 양호하며, 왕과 비들의 무덤이 함께 보존되어 있다. 특히 왕실의 장례와 제례를 엿볼 수 있으며, 국조오례의와 같은 상세한 기록까지 후대에 전해져 조선 시대의 왕실 문화와 장례 문화를 조명할 수 있는 문화재이다.[1] 한편 2009년 6월 27일, 유네스코는 제33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조선왕릉 40기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로 결정하였다. 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영역에 있는 제릉(태조의 정비 신의왕후의 능)과 후릉(정종과 그의 왕비 정안왕후의 능), 태조의 고조부모, 증조부모, 조부모, 양친의 능, 그리고 대한민국의 영역에 있지만 폐위된 연산군과 광해군의 묘는 여기서 제외된다.[2]
목차[숨기기] |
[편집] 입지 선정
능묘는 조선 시대 법전인 경국대전의 "능역은 한양성 사대문 밖 100리 안에 두어야 한다"라는 입지 조건에 따라 선정되었다. 실제로 경국대전이 편찬되기 이전의 태조의 조상들의 능묘, 신의왕후의 능묘인 제릉, 정종의 능묘인 후릉과 여주의 세종과 효종의 능묘인 영·녕릉, 영월에서 객사한 단종의 장릉을 제외하면 서울 사대문에서 100리 이내에 위치하고 있다.
왕릉은 풍수지리적인 요소를 고려해 위치를 선정하였으며, 바람, 물, 불, 나무, 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재해의 발생이 없어야 하고, 배산임수 지형을 갖추어야 했다. 뿐만 아니라 정치적인 이유에서 이장하기도 하였다.[3]
[편집] 조선왕릉의 구조와 분류
[편집] 조선왕릉의 기본적인 구조
조선왕릉의 기본적인 공간구조는 크게 재실과 진입공간, 제향공간, 정자각, 전이공간, 능침공간으로 나뉜다.
[편집] 재실
재실(齋室)은 능이나 종묘에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지은 집으로 제사를 지낼 때 쓰는 기구를 보관하고, 왕릉을 관리하는 벼슬직인 능참봉이 머무르던 용도로 쓰여졌다.
[편집] 진입공간
진입공간에는 금천교(禁川橋)와 홍살문(紅살門, 紅箭門)이 있다. 가장 먼저 나타나는 금천교는 속세와 왕릉을 구분하는 다리의 역할을 하였다.
금천교 뒤에 위치한 홍살문은 능·원·묘·궁전 앞에 세우던 붉은 물감을 칠한 나무 문으로, 둥근 기둥 두 개를 세우고, 위에는 지붕 없이 화살모양의 나무를 나란히 세워 놓았는데, 그 중간에는 태극 문양이 그려져 있다. 이 태극 문양은 네가지 형태로 구분되는데 삼태극, 이태극 및 빛을 넣는 삼태극 등으로 표현되어 있고, 태극 문양 위의 지창(枝槍)은 2지창과 3지창의 두 가지로 구분되어 있다. 주로 해당 공간의 신성함을 알리는 역할을 했다. 언제부터 어떤 연유로 해서 세워지게 되었는지는, 문헌상 기록이 없어 확실히 알 수 없다.[4] 때로는 왕릉군의 입구 앞에도 홍살문을 세워놓기도 한다.
[편집] 제향공간
제향공간에는 정자각으로 가는 참도(參道)와 정자각, 수복방이 있다. 홍살문을 지나 제향을 올리는 정자각으로 가는 길에는 깔려있는 참도는 신령이 다니는 신도와 임금이 다니는 어도로 나뉜다. 참도 옆에는 제사를 준비하는 공간인 수라간과 수복방이 위치하는데 대부분의 조선왕릉의 수라간이나 수복방은 파괴되어 그 터만이 남아있다.
[편집] 정자각
정자각은 정(丁)자 모양의 건물로 제향 때 이곳에 제물을 진설하고 제사를 지낸다. 조선왕릉이라면 기본적으로 있는 건물이다. 황제의 능인 홍유릉은 정자각 대신 일(一)자 모양의 침전을 지었다. 2011년 12월에는 문화재청은 동구릉에 위치한 건원릉과 숭릉, 목릉의 정자각을 역사적·예술적·학술적 가치가 큰 곳으로 밝혀 국가지정문화재인 보물(건원릉 정자각-보물 1741호/숭릉 정자각-보물 1742호/목릉 정자각-보물 1743호)로 지정했다.
정자각 내부에는 제사를 지내는데 쓰이는 제구(祭具)가 있다. 제구들은 대부분 붉은 색으로 칠해져 있으며, 황제로 추숭(追崇)된 왕릉의 제구들은 황제를 상징하는 노란색으로 칠해져 있다.
[편집] 전이공간
정자각 앞 전이공간에는 왕릉의 주인을 설명하는 비석이 있는 비각이 있고 축문을 태우는 예감(소전대 또는 망료위)과 왕릉이 위치한 본래의 산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산신석이 있다.
[편집] 능침공간
능침공간은 언덕으로 이루어져 있다. 크게 하계, 중계, 상계로 나뉘는데, 하계에는 봉분을 지킨다고 하는 무인석과 석마 한 쌍이 있고, 중계에는 왕릉 주인의 명을 받든다고 하는 문인석과 석마 한 쌍, 장명등, 망주석 한 쌍이 있다. 상계에는 능침을 중심으로 혼이 쉬는 공간인 혼유석이 능침 앞에 있고, 혼유석 앞에는 절이나 무덤 앞에 세우는 장명등이 있다. 봉분의 양 쪽에는 망주석이 하나씩 있다. 석호와 석양이 두 쌍씩 능침을 둘러싸 보호하고 있다. 병풍석은 봉분 둘러싸고, 곡장이 능침공간을 둘러싸 보호하고 있다.
[편집] 봉분의 형태에 따른 분류
조선왕릉은 봉분의 형태에 따라 분류할 수 있는데 단릉(왕이나 왕비가 홀로 조성된 형태), 쌍릉(왕과 왕비가 각기 다른 봉분에 묻힌 형태), 삼연릉(쌍릉 옆에 한 개의 능이 추가된 형태), 동원이강릉(각기 다른 언덕에 조성된 형태), 동원상하봉릉(한 언덕의 위와 아래에 왕과 왕비의 능이 있는 형태), 합장릉(왕과 왕비가 한 봉분에 같이 묻힌 형태) 동봉삼실합장릉(하나의 봉분에 3명이 합장되있는 형태)으로 나눌 수 있다.
[편집] 왕릉 목록
대수 | 왕명 | 왕릉 | 한자명 | 매장인 | 연도 | 위치 | 사적번호 | 구분 |
---|---|---|---|---|---|---|---|---|
추존왕 | 목조 | 덕릉 안릉 |
德陵 安陵 |
목조 효공왕후 |
1274년 미상 |
함남 영광 함남 영광 |
북한 소재 북한 소재 |
열외 |
추존왕 | 익조 | 지릉 숙릉 |
智陵 淑陵 |
익조 정숙왕후 |
미상 미상 |
함남 안변 함남 문천 |
북한 소재 북한 소재 |
열외 |
추존왕 | 도조 | 의릉 순릉 |
義陵 純陵 |
도조 경순왕후 |
1342년 미상 |
함남 함흥 함남 함흥 |
북한 소재 북한 소재 |
열외 |
추존왕 | 환조 | 정릉 화릉 |
定陵 和陵 |
환조 의혜왕후 |
1361년 미상 |
함남 함주 함남 함주 |
북한 소재 북한 소재 |
열외 |
제1대 | 태조 | 건원릉 제릉 정릉 |
健元陵 齊陵 貞陵 |
태조 신의왕후 신덕왕후 |
1408년 1391년 1396년 |
경기 구리 개성 서울 성북구 |
193호 북한 소재 208호 |
동구릉 열외 - |
제2대 | 정종 | 후릉 | 厚陵 | 정종,정안왕후 | 1419년 | 개성 | 북한 소재 | 열외 |
제3대 | 태종 | 헌릉 | 獻陵 | 태종,원경왕후 | 1422년 | 서울 강남구 | 194호 | - |
제4대 | 세종 | 영릉 | 英陵 | 세종,소헌왕후 | 1450년 | 여주 | 195호 | - |
제5대 | 문종 | 현릉 | 顯陵 | 문종,현덕왕후 | 1452년 | 구리 | 193호 | 동구릉 |
제6대 | 단종 | 장릉 사릉 |
莊陵 思陵 |
단종 정순왕후 |
1698년 | 영월 남양주 |
196호 209호 |
- |
제7대 | 세조 | 광릉 | 光陵 | 세조, 정희왕후 | 1468년 1483년 |
남양주 | 197호 | - |
추존왕 | 덕종 | 경릉 | 敬陵 | 덕종, 소혜왕후 | 1457년 | 고양 | 198호 | 서오릉 |
제8대 | 예종 | 창릉 공릉 |
昌陵 恭陵 |
예종, 안순왕후 장순왕후 |
1469년 | 고양 파주 |
205호 198호 |
서오릉 파주삼릉 |
제9대 | 성종 | 선릉 순릉 |
宣陵 順陵 |
성종, 정현왕후 공혜왕후 |
1494년 | 서울 강남구 파주 |
199호 | - 파주삼릉 |
제10대 | 연산군 | 연산군묘 | 燕山君墓 | 연산군, 거창군부인 | 1506년 | 서울 도봉구 | 362호 | 열외 |
제11대 | 중종 | 정릉 온릉 희릉 태릉 |
靖陵 溫陵 禧陵 泰陵 |
중종 단경왕후 장경왕후 문정왕후 |
1544년 1557년 1562년 1565년 |
서울 강남구 양주 고양 서울 노원구 |
199호 210호 200호 201호 |
- - 서삼릉 - |
제12대 | 인종 | 효릉 | 孝陵 | 인종, 인성왕후 | 1544년 | 고양 | 200호 | 서삼릉 |
제13대 | 명종 | 강릉 | 康陵 | 명종, 인순왕후 | 1567년 | 서울 노원구 | 201호 | - |
제14대 | 선조 | 목릉 | 穆陵 | 선조, 의인왕후, 인목왕후 | 1608년 | 구리 | 193호 | 동구릉 |
제15대 | 광해군 | 광해군묘 | 光海君墓 | 광해군, 문성군부인 | 1643년 | 남양주 | 363호 | 열외 |
추존왕 | 원종 | 장릉 | 章陵 | 원종, 인헌왕후 | 1627년 | 김포 | 202호 | - |
제16대 | 인조 | 장릉 휘릉 |
長陵 徽陵 |
인조, 인렬왕후 장렬왕후 |
1731년 | 파주 구리 |
203호 | - 동구릉 |
제17대 | 효종 | 영릉 | 寧陵 | 효종, 인선왕후 | 1673년 | 여주 | 195호 | - |
제18대 | 현종 | 숭릉 | 崇陵 | 현종, 명성왕후 | 1674년 | 구리 | 193호 | 동구릉 |
제19대 | 숙종 | 명릉 익릉 |
明陵 翼陵 |
숙종, 인현왕후, 인원왕후 인경왕후 |
1701년 | 고양 | 198호 | 서오릉 서오릉 |
제20대 | 경종 | 의릉 혜릉 |
懿陵 惠陵 |
경종, 선의왕후 단의왕후 |
1724년 1718년 |
서울 성북구 구리 |
204호 193호 |
- 동구릉 |
제21대 | 영조 | 원릉 홍릉 |
元陵 弘陵 |
영조, 정순왕후 정성왕후 |
1776년 1757년 |
구리 고양 |
193호 198호 |
동구릉 서오릉 |
추존황제 | 진종 | 영릉 | 永陵 | 진종, 효순왕후 | 1728년 | 파주 | 205호 | 파주삼릉 |
추존황제 | 장조 | 융릉 | 隆陵 | 장조조, 헌경왕후 | 1761년 | 화성 | 206호 | |
제22대 | 정조 | 건릉 | 健陵 | 정조, 효의왕후 | 1800년 | 화성 | 206호 | |
제23대 | 순조 | 인릉 | 仁陵 | 순조, 순원왕후 | 1834년 | 서울 서초구 | 194호 | |
추존황제 | 익종(문조) | 수릉 | 綏陵 | 익종, 신정왕후 | 1830년 | 구리 | 193호 | 동구릉 |
제24대 | 헌종 | 경릉 | 景陵 | 헌종, 효현왕후, 효정왕후 | 1849년 | 구리 | 193호 | 동구릉 |
제25대 | 철종 | 예릉 | 睿陵 | 철종, 철인왕후 | 1863년 | 고양 | 200호 | 서삼릉 |
제26대 | 고종 | 홍릉 | 洪陵 | 고종, 명성황후 | 1919년 | 남양주 | 207호 | |
제27대 | 순종 | 유릉 | 裕陵 | 순종, 순명효황후, 순정효황후 | 1926년 | 남양주 | 207호 |
[편집] 원소 목록
원(園)또는 원소(園所)란 왕세자, 왕세자빈 또는 임금을 낳은 선왕의 후궁들의 묘소에 붙이는 이름이다. 원소는 모두 세계유산 등재에서 제외되어 있다.
원소 | 한자명 | 매장인 | 연도 | 위치 |
---|---|---|---|---|
순창원 | 順昌園 | 순회세자, 공회빈 윤씨 | 1563년 | 고양 |
순강원 | 順康園 | 인빈 김씨 | 1618년 | 남양주 |
소경원 | 昭慶園 | 소현세자 | 1645년 | 고양 |
영회원 | 永懷園 | 민회빈 강씨 | 1646년 | 광명 |
소령원 | 昭寧園 | 숙빈 최씨 | 1718년 | 파주 |
수길원 | 綏吉園 | 정빈 이씨 | 1721년 | 파주 |
수경원 | 綏慶園 | 영빈 이씨 | 1764년 | 고양 |
의령원 | 懿寧園 | 의소세자 | 1752년 | 고양 |
효창원 | 孝昌園 | 의빈 성씨, 문효세자 | 1786년 | 고양 |
휘경원 | 徽慶園 | 수빈 박씨 | 1822년 | 남양주 |
흥원 | 興園 | 헌의대원왕, 순목대원비 | 1898년 | 남양주 |
영원 | 英園 | 의민태자, 의민태자비 | 1970년 | 남양주 |
회인원 | 懷仁園 | 회은태손 | 2005년 | 남양주 |
'Living daily > 조선왕조, 왕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구릉(東九陵) (0) | 2012.05.12 |
---|---|
제2대 정조(영안대군)-이방과(이경) (0) | 2012.05.12 |
제 1대 태조 (이성계 - 李旦) (0) | 2012.05.12 |
우리나라 왕실 (0) | 2012.05.10 |
조선 왕조 가계도 (0) | 2012.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