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계유정란(癸酉(靖難), | |
병자사화(丙子士禍), | |
무오사화(戊午士禍), | |
갑자사화(甲子士禍), | |
기묘사화(己卯士禍), | |
신사무옥(辛巳誣獄), | |
을사사화(乙巳士禍), | |
정미사화(丁未士禍), | |
기유사화(己酉士禍), | |
계축사화(癸丑士禍) | |
기사사화(己巳士禍), | |
신임사화(辛壬士禍) | 신축-임인 |
년도 | 사화 | 옥사 | 환국 | ||
1453 | 계유정란(癸酉(靖難), | 단종1년 | 조선 세조의 왕위찬탈사건 1453년(단종 1) 수양대군이 조카인 단종으로부터 왕위를 빼앗기 위하여 일으킨 난이다 | ||
1456 | 병자사화(丙子士禍), | 세조2년 | 조선(朝鮮) 세조(世祖) 원(1455)년에 성삼문(成三問), 박팽년(朴彭年) 등(等)이 단종(端宗)의 복위(復位)를 꾀하다가 실패(失敗)하여 일어난 사화(士禍) | ||
1498 | 무오사화(戊午士禍), | 연산군4년 | 김일손(金馹孫) 등 신진사류가 유자광(柳子光) 중심의 훈구파(勳舊派)에게 화를 입은 사건이다. 사초(史草)가 발단이 되어 일어난 사화(史禍)로 조선시대 4대사화 가운데 첫 번째 사화이다 | ||
1504 | 갑자사화(甲子士禍), | 연산군10년 | 1504년(연산군 10) 연산군의 어머니 윤씨(尹氏)의 복위문제에 얽혀서 일어난 사화. | ||
1506 | 병인사화(丙仁士禍), | 연산군12년 |
1506년(연산군 12년)에 일어난 무오, 갑자사화의 연장된 사화로서, 그 때 화를 입지않고 빠진사람들에게 죄를 가하기 위하여 일어난 사건이다. | ||
1519 | 기묘사화(己卯士禍), | 중종14년 | 조광조의 혁신정치에 반발한 훈구파들에 의해 발생한 사화 | ||
1521 | 신사무옥(辛巳誣獄), | 신사무옥 | 중종16년 | 1521년(중종 16)에 일어난 안처겸(安處謙) 등의 옥사.(1519년(중종 14)에 일어났던 기묘사화의 여파로 일어난 사건이다.) | |
1545 | 을사사화(乙巳士禍), | 명종1년 |
1545년(명종 즉위년) 조선 왕실의 외척인 대윤(大尹)·소윤(小尹)의 반목으로 일어난 사림(士林)의 화옥(禍獄)으로 소윤이 대윤을 몰아낸 사건이다 | ||
1547 | 정미사화(丁未士禍), | 벽서의 옥 | 명종2년 | 을사사화(乙巳士禍)의 여파로 1547년(명종 2)에 일어난 사화이며 윤원형 일파가 대윤 세력을 숙청하기 위해 만들어낸 사건이다. | |
1549 | 기유사화(己酉士禍), | 기유옥사 | 명종4년 |
1549년 (명종 4년)에 이홍남(李洪男), 이홍윤(李洪胤) 형제의 난언(亂言)을 상주(上奏)하여 이흥남이 모욕죄(侮辱罪)로 몰려 그의 아우 이홍윤 등이 능지처참(陵遲處斬)되는 한편 이에 연루된 많은 사람들이 화를 입은 사건이다. | |
1589 | 기축옥사 | 선조22년 | 조선 선조 때의 옥사로 1589년 10월의 정여립이 모반을 꾸민다는 고변으로부터 시작되어 정여립과 함께 3년여 간 그와 연루된 많은 동인들이 희생된 사건이다. | ||
1613 | 계축사화(癸丑士禍) | 계축옥사 | 광해군5년 | 조선 광해군 5년(1613)에 대북파(大北派)가 영창대군(永昌大君) 및 서인, 남인 세력을 제거하기 위해 일으킨 옥사(獄事). 계축년에 일어났기 때문에 계축옥사라 함. 인조반정(仁祖反正)의 원인이 되었음 | |
1680 | 경신환국 | 숙종6년 | 1680년(숙종 6) 남인(南人) 일파가 정치적으로 서인에 의해 대거 축출된 사건. | ||
1689 | 기사사화(己巳士禍), | 기사환국 | 숙종15년 | 1680년(숙종 6)의 경신출척(庚申黜陟)으로 실세하였던 남인(南人)이 1689년 원자정호(元子定號) 문제로 숙종의 환심을 사서 서인(西人)을 몰아내고 재집권한 일. | |
1694 | 갑술환국 | 숙종20년 | 폐비민씨(廢妃閔氏) 복위운동을 반대하던 남인(南人)이 화를 입어 실권(失權)함. | ||
1721 | 신임사화(辛壬士禍)(신축-임인) | 신축환국 | 경종1~ |
경종의 생모 희빈 장씨의 사사와 연관되었고 따라서 경종의 등극을 암암리에 반대하고 이복동생 연잉군의 세제책봉을 주장한 노론세력이 목호료의 고변에 연루되에 대거 숙청됨. | |
신임사화(辛壬士禍)는 조선 경종 때인 1721년(경종 1년, 신축년)부터 1722년(임인년)까지 일어났던 정치적 분쟁으로, 연잉군을 왕세제로 책봉하는 문제를 에워싸고 일어난 노론과 소론의 싸움으로, 신임옥사(辛壬獄事)라고도 한다. | |||||
1722 | 임인옥사 | ~경종2 | |||
1725 | 을사환국 | 영조2년 |
영조 즉위 직후 소론정권에서 노론정권으로의 정권교체 영조는 자신을 지지한 노론을 통하여 강력한 왕권을 구상하였음
| ||
1727 | 정미환국 | 영조4년 |
노론정권에서 소론정권으로 급격한 정권교체 온건탕평파를 키워 정국을 안정시키려는 영조의 의도 | ||
1755 | 을해옥사 | 영조31년 |
나주벽서사건 등 소론명문가를 일망타진한 사건 | ||
1755년(영조 31) 소론(少論) 일파가 노론을 제거할 목적으로 일으킨 역모 사건. |
'Living daily > 조선왕조, 왕릉' 카테고리의 다른 글
日외교관이 증언하는 명성황후 시해사건 (0) | 2012.06.02 |
---|---|
조선왕조의 역사,연대표 (0) | 2012.05.21 |
조선 연대표 (0) | 2012.05.18 |
한국사 연대표 (0) | 2012.05.18 |
한국사 연표 (0) | 2012.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