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사 華嚴寺
백제 성왕 22년(544)에
인도 스님이신 연기조사께서 대웅상적광전과 해회당을 짓고 화엄사를 창건 후,
백제법왕(599)때 3천여 명의 스님들이 계시면서 화엄사상을 백제 땅에 꽃피웠다.
신라시대는 신라 선덕여왕 14년(645)에
자장율사가 부처님 진신사리 73과를 모시고 4사자 3층 사리석탑과 공양탑을 세웠다.
원효스님은 해회당에서 화랑도들에게 화엄사상을 가르쳐 삼국통일을 이루었다.
또 무문왕 17년(677)에 의상조사는 2층 4면 7칸의 사상벽에 화엄경을 돌에 새기고
황금장육불상을 모신 장육전 법당(지금의 각황전)과 석등을 조성하였다.
경덕왕(742~764)때 이르러 8원 81암자로 화엄불국 연화장세계의 면모를 갖추고,
신라말기 헌강왕(875)때 도선국사는 동오층석탑과 서오층석탑 조성과 더불어
화엄사 중흥조가 되시면서 화엄사가 대총림으로 승격되었다.
고려시대는 고려 태조 26년(943)에 왕명으로 고려 최초로 화엄사를 중수하였고,
홍경선사가 퇴락한 당우와 암자를 중수하였다.
문종(1047~1083)때 대각국사 의천에 의하여 중수,
인종(1126~1146)때 정인왕사가 중수,
명종 2년(1172)에 도선국사비 건립,
충렬왕(1236~1308)때 원소암 중건,
충숙왕(1313~1330)때 조형왕사에 의한 전면적인 보수를 하였다.
조선시대에 세종 6년(1426)에 선종대본산으로 승격된 화엄사는
배불의 와중에도 설응, 숭인, 부휴, 중관, 무렴 등의 고승대덕들에 의해
법석의 요람을 이루었습니다.
임진왜란(1592~1598)때는 호남의 관문 구례 석주관에서
승병 300여 명을 조직하여 왜군에 맞서 싸웠으나
이 앙갚음으로 왜장 가등청정은 화엄사를 전소시켰다.
인조(1630~1636)때 벽암선사와 문도들이 대웅전 등 몇몇 건물을 중건하고,
숙종(1699~1703)때 계파선사와 문도에 의하여 장육전 자리에
현존하는 목조건물로는 국내 최대규모로 웅장한 각황전 건립과 더불어
선교 양종대가람이 되었고,
근세에 이르러 도광대종사의 전면적인 중수에 힘입어
지금의 화엄사로 중흥할 수 있었다.
# 각황전 : 국보 제67호
우리나라 최대의 목조 건물로
중앙에 커다란 부처님을 모시고
천정을 우물정井자 모양으로 주변이 굽어지게 함.
*** 각황전앞 석등 : 국보 제12호
통일신라(9세기말-10세기초)시대에 조성된 높이는 640cm로
꽃잎 형태는 우담바라이며,
8정도와 4성제를 표현한 국내 최고의 석등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크다.
간주석竿柱石은 통일신라시대 석등의 팔각기둥과는 달리
북처럼 배가 부른 형태[鼓腹形]이다.
<장고長鼓의 가운데 모습과 닮았다.>
*** 화엄석경 : 보물 제1040호
의상조사께서 현재의 각황전 자리에 장육전을 건립하였을 때,
그 사방 벽에다 화엄경을 새김.
# 대웅전 : 보물 제299호
화엄사에서 가장 오래된 법당으로
정면 5칸, 측면 3칸으로 조성되었으며,
법신, 보신, 화신의 삼존불을 모심.
닫집이 아름 답고, 대웅전 앞 서탑에는 12지신상이 안상 속에 새겨져 있다.
*** 대웅전 영산회상 괘불탱 : 국보 제301호
효종 4년(1653)에 제작된 영산회상도로
거대한 규모이면서
짜임새 있는 구도, 균형잡힌 형태, 치밀한 선 등이 뛰어난 불화임.
*** 대웅전 삼신후불탱화 : 보물 제1363호
# 5층석탑
1) 서오층석탑 : 보물 제133호
신라 말기 헌강왕 원년(875)에 도선국사가 풍수지리설에 의하여 조성한 것으로
부처님 사리를 동, 서 두 탑에 봉안하여 요동함을 막음.
탑 아래 부분에 12지신상이 조각되어 있으며,
위 부분은 여덟 무리의 신들[八部衆, 8금강]과 4천왕 四天王을 함께 새겨진 드문 예로서,
부처님의 법을 보호한다.
1995년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을 비롯한 유물 47점이 탑 속에서 발견되었다.
* 연화좌대
2) 동오층석탑 : 보물 제132호
신라 말기 헌강왕 원년에 도선국사가 조성한 것으로,
신라, 백제의 양식이 혼합된, 꾸밈이 없고 소박하여 중후한 탑.
기단도 단층으로 되어 있다.
1999년 사리장엄구를 비롯한 다양한 유물이 탑 속에서 발견되었다.
*** 화엄사의 중심영역中心領域 :
보제루의 오른쪽을 돌아서 오르는 화엄사의 중심영역은 주위를 둘러싼 전가의 지붕이 꽃잎처럼 아름다운 곡선을 그려내어
마치 연꽃 속에 있는 듯한 아늑함을 준다.
대웅전과 동오층석탑, 각황전과 서오층석탑으로 이어지는 2개의 축은 두개의 일탑일금당一塔一金堂을 한 곳에 모아둔 듯하다.
주불전인 대웅전보다 각황전이 훨씬 큰 기형적인 구조를 해결하기 위해 의도된 화엄사만의 매력이다.
# 원통전 :
*** 원통전앞 4사자감로탑 : 보물 제300호
4사자감로탑은 신라 문무왕 17년(677)에 조성한 것으로
마치 각황전을 수호신처럼 지키고 서있다.
사자의 표정이 모두 달라 인간의 희로애락을 표현한 감로탑.
그 사자의 표현이 사람들의 수많은 번뇌, 부처님의 말씀, 부처님의 법문,
그리고 부처님의 지혜를 상징한다고 한다.
# 4사자삼층석탑四獅子三層石塔 / 연기존자 공양탑 : 국보 제35호
통일신라시대(9세기), 높이 289.7cm.
4사자 삼층석탑은 자장율사가 당나라에서 가져온 부처님 진신사리 73과가 모셔져 있는 사리탑과
차공양을 올리는 효사상의 공양탑.
화엄사 창건주인 연기조사와 어머니의 전설을 담고 있다.
머리에 석등을 이고, 왼손에 찻잔을 들고 찻잔위에 여의주를 받쳐 든 모습이다.
입모양이 각각 다르고 지물도 다르다. 팔엽 연꽃, 비천상 그리고 주악상 등이 조각되어 있다.
이 탑은 기단에 주악천인과 공양상이 화려하게 새겨져 있고, 기단 갑석 위에는 연꽃 봉오리를 든 비구니상이 서 있다.
그 위에 1층 몸돌에는 문門의 좌우에 인왕상과 사천왕상, 범천상과 제석천상이 새겨져 있다.
탑을 향해 석등을 머리에 이고 앉아 있는 승려상은 찻잔을 들어 공양하는 모습이다.
이곳은 효대孝臺라고도 불리는데, 화엄사를 창건한 연기緣起조사가 어머니를 위해 탑을 세웠다는 전설에서 유래한 것이다.
# 효대시비 :
도선국사 의천의 시가 새겨진 시비詩碑 고려 11대 문종의 4번째 왕자로 태어났던 대가국사 의천이
효대에 올라 4사자석탑과 그 앞에 있는 공양석을 보고 지었다는 시.
<적멸당 앞에는 훌륭한 경치도 많고
길상봉 위에는 가는 티끌조차 끊겼네.
하루 종일 거닐면서 과거사를 생각하니
날 저문 효대에 슬픈 바람 이는구나.>
# 나한전 :
# 보제루 : 지방유형문화재 제49호
1636년에 건립. 승려나 신도들의 집회용인 2층 누각 건물로
대개는 그 밑을 지나 대웅전으로 들어서게 되지만,
화엄사의 보제루는 1층의 기둥 높이를 낮게 만들어 돌아가게 되어 있다.
이는 각황전, 대웅전, 대석단 등이 장엄하게 펼쳐지는 중심 영역의 경관을 강조하기 위한 배려(높이를 낮추기 위한)로 보인다.
장식을 배제하고 단청도 하지 않아 절제된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
특히 1층의 기둥은 나무를 다듬지 않고 원래의 모습 그대로를 나타내어 자연스러움을 더 하고 있다.
# 영산전 :
석가모니가 영취산에서 제자들을 거느리고 법화경을 설법하는 모습, 영산회사을 재현한 전각이다.
현재 화엄사 영산전은 선방으로 사용하고 있다.
# 범종각
# 범종과 비천상
# 만월당
# 당간지주 :
# 벽암국일도대선사비 碧巖國一都大禪師碑
1663년에 건립한, 높이 355.5cm인
화엄사 중창의 주역인 벽암각성碧巖覺性(1575-1660)의 탑비이다.
그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에 참전하여 크게 활약하였고, 승군을 이끌고 남한상성을 축성하는 등,
조선 후기 사회에서 불교계의 위상을 높이는데 공헌하였다.
또한 전란 후에는 화엄사를 비롯하여 해인사, 법주사 등의 여러 사찰의 중수를 주도하여 조선후기 불교사에 커다란 발자취를 남겼다.
# 천왕문
# 금강문
* 금강문의 벽에 그려진 금강역사
# 일주문
# 현판
# 옴자기와 :
# 새싹 :
-----------------------------------------------------
나한전 주련(羅漢殿 柱聯)
諸大聖衆振玄飛 여러 큰 아라한 진리를 힘차게 드러내시어
敎化羣生一體同 한 몸 인양 수많은 중생 교화하시네.
洞察人間如反掌 인간 세상 손바닥 보듯 살피시는 분
消災降福願皆脫 원컨대 복과 지혜 주시고 모두 해탈케 하소서.
원통전 주련(圓通殿 柱聯)
一葉紅蓮在海中 바다 속 붉은 연꽃 한 송이 피어나
碧波深處現身通 푸른 파도 깊은 데서 신통을 보이시네.
昨夜普陀觀自在 어젯밤엔 관자재께서 보타에 계시더니
今日降赴道場中 오늘은 화엄 도량 가운데 강림하셨네.
대웅전 주련(大雄殿 柱聯)
四五百株垂柳巷 가지 휘영청 늘어진 수양버들 마을
樓閣重重華藏界 누각은 겹겹이라 화장세계로구나
二三千尺管絃樓 높고 높은 루 관현소리 그윽함이여
紫羅帳裏橵眞珠 자색 비단 장막 속 진주 보배 뿌리나니
雨寶益生滿虛空 법비 내려 중생 이익 허공 가득하고
衆生隨器得利益 일체 중생 근기 따라 큰 이익을 얻도다.
각황전 주련(覺皇殿 柱聯)
偉論雄經罔不通 위대한 경전과 논서 모두 통달하시고
一生弘護有深功 일생을 홍포하사 공덕 깊고 넓도다
三千義學分燈後 걸출한 삼천 제자 법등을 나누시니
圓敎宗風滿海東 화엄의 종풍 전국을 휩쓸었네.
西來一燭傳三世 인도에서 온 일촉의 등불 온 세상 밝히니
南國千年闡五宗 천년을 전하여 다섯 갈래로 피어났도다.
遊償此增淸淨債 이 많은 청정한 빗 노닐며 갚으려하니
白雲回首與誰同 백운에 머리 돌려 누구와 함께 할 것인가
----------------------------------
'旅行 > 한국의 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야산 해인사 (0) | 2009.09.19 |
---|---|
[스크랩] 韓國 寺刹 巡禮 (0) | 2009.04.23 |
[스크랩] 화엄사 華嚴寺 (2) : 만월당의 십우도 (0) | 2009.03.14 |
[스크랩] 해인사(海印寺)/경남 합천 (0) | 2008.07.13 |
영암사지(靈巖寺址) 이야기 (0) | 2008.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