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자번호 13번, 알루미늄. |
알루미늄의 원소정보. |
|
|
|
|
|
물리적 성질
|
|
|
화학적 성질
|
|
|
보크사이트: 알루미늄 광석
|
|
|
|
|
|
알루미늄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분야는 승용차와 트럭 등 교통기관으로 전체 사용량의 약 28%가 사용된다. 차체가 가벼워야 하는 전기자동차가 보편화되면 더욱 많은 양이 이 분야에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출처: (CC)frankh at Wikipedia.org> |
알루미늄 전체 사용량의 약 23%는 알루미늄 박(포일)과 각종 용기 등 포장에 사용된다. <출처: sxc.hu> |
|
3000번 계열의 알루미늄 합금은 약 1.2%의 망가니즈(Mn)를 포함하는 합금으로 중간 정도의 강도를 가지며 가공성이 좋아 조리기구, 저장 용기, 가구, 고속도로 표시 판, 지붕 재료 등으로 주로 사용된다. <출처: gettyimages> |
7000번 계열의 알루미늄 합금은 3~8%의 아연(Zn)/Mg과의 합금으로 열처리를 하면 아주 강해져 주로 항공기 구조물 등 무게 대비 높은 강도가 필요한 기구에 사용된다. <출처: gettyimages> |
|
알루미나로 불리는 산화 알루미늄은 햇빛 차단제 및 화장품의 구성 성분으로도 사용된다. <출처: gettyimages> |
붕수소화 알루미늄은 로켓 연료, 제트 연료의 첨가제, 실험실에서의 환원제로 사용된다. <출처: gettyimages> |
|
|
-
알루미늄의 국제적 이름
현재 많이 사용되는 알루미늄의 국제적 이름은 ‘aluminium’이나, 북미에서는 흔히 ‘i’ 가 하나 빠진 ‘aluminum’으로 적는다. IUPAC은 1990년에 ‘aluminium’을 국제표준어로 채택하였으나, 3년 후 ‘aluminum’도 함께 쓰기로 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원자번호 55번인 세슘(Cs)의 경우에도 IUPAC 추천 명칭은 caesium이나 미국에서는 전통적으로 ‘a’를 뺀 cesium으로 불러왔으며 현재 두 이름이 함께 사용되고 있다. -
수치로 보는 알루미늄
알루미늄의 표준원자량은 26.982g/mol이고, 바닥 상태 전자배치는 1s22s22p63s23p1 ([Ne]3s23p1) 이다. 화합물에서 주된 산화 상태는 +3이다. 지각에서의 존재 비는 약 8.3%로 산소와 규소 다음으로 많고, 금속 중에서는 가장 많다. 2009년 전세계 생산량은 4,140만 톤으로 철다음으로 많으며, 중국에서의 생산량이 1,680만 톤으로 전체의 41%를 차지한다. 1기압에서 녹는점은 660.32oC이고 끓는점은 2,519oC이며, 20 oC에서 밀도는 2.70g/cm3이다. 20oC에서 전기 비저항은 28.2nΩ∙m이며, 열 전도율은 237 W∙m-1∙K-1이다.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이온화 에너지는 각각 577.5, 1817, 2,745kJ/mol 이며, 폴링의 전기 음성도는 1.61이다. 원자 반경은 143pm이고, Al3+ 이온(6 배위체)의 반경은 53.5pm이다. 천연 상태에서는 거의 모두 27Al로 있다.
발행일 2012.03.07
Aluminum
Atomic Weight | 26.981538 | |
Density | 2.7 g/cm3 | |
Melting Point | 660.32 °C | |
Boiling Point | 2519 °C | |
Full technical data |
These nodules were created by pouring molten aluminum into a bucket of water. There was no reason to do this other than my desire to create a sample to photograph for a certain periodic table poster.
Scroll down to see examples of Alumin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