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원자번호 77번, 이리듐. 사진은 1960년 이전까지 사용되었던 백금과 이리듐 합금으로 만든 국제 미터 원기 |
이리듐의 원소정보 |
|
|
|
|
|
|
|
백악기-고제3기 경계층. 미국 와이오밍 주에 있는 이 바위의 중간 점토암(粘土岩)은 바로 아래와 위의 암석에 비해 이리듐 함량이 1000배나 높다. <출처: (cc) Eurico Zimbres > |
알바레즈 가설이란 약 6500만년 전에 일어난 공룡 등의 생물 대멸종 원인이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림은 상상도. |
|
이리듐 금속. 이리듐은 은백색 금속으로 단단하나 부서지기 쉽다. 내부식성과 내열성이 아주 좋아 합금제로 사용되며, 백금의 경화제로도 사용된다.
|
|
|
|
|
|
|
|
|
|
이리듐 합금은 항공기와 자동차에 쓰이는 고성능 점화 플러그의 전기 접점에도 사용된다.
|
|
수치로 보는 이리듐
이리듐의 표준원자량은 192.217g/mol이며, 원자의 바닥 상태 전자배치는 1s22s22p63s23p63d104s24p64d105s25p64f145d7 6s2([Xe]4f145d76s2)이다. 화합물에서의 산화수는 -3과 +6사이의 여러 값을 가질 수 있는데, +4와 +3의 산화상태가 가장 흔하다. 지각 무게의 약 0.1ppb(1x10-8%)를 차지한다. 1기압에서 녹는점은 2446oC이고, 끓는점은 모든 원소 중에서 10번째로 높은 4430oC이다. 밀도는 20oC에서 22.56g/cm3로 천연 원소 중에서는 오스뮴(밀도 22.59g/cm3)다음으로 높다. 20oC에서의 전기 비저항은 47.1nΩ·m이고 열 전도도는 147W·m-1·K-1이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이온화 에너지는 각각 880kJ/mol과 1600kJ/mol이며, 폴링의 전기 음성도는 2.2이다. 원자 반경은 135.5pm이고, 6배위된 Ir3+의 이온 반경은 68pm이다. 천연 상태에서 191Ir(37.3%)와 193Ir(62.7%)의 2가지 동위원소로 존재하며, 이들은 모두 안정하다. 산성 수용액에서 Ir3+/Ir의 표준환원 전위는 1.156V이다.
뫼스바우어 효과(Mőssbauer effect)
결정 안에 있는 원자핵에서 반동(recoil, 되튐)없이 감마선이 방출되고 이것이 같은 종류의 다른 원자핵에 공명·흡수되는 현상이다. 1958년에 191Ir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57Fe를 비롯한 다른 핵에서도 관찰되었다. 이를 이용한 뫼스바우어 분광법은 아주 미세한 에너지 변화도 검출할 수 있어 분석력이 가장 뛰어난 분광법으로 평가된다. 원자핵의 산화상태 변화, 특정 원자에 대한 배위자의 영향과 같은 화학적 환경의 변화, 시료의 자기적 환경의 미세한 변화 등을 알아내는데 사용된다.
발행일 2013.03.13
Iridium
Iridium is extremely hard to melt: This lump only made it about half way to being melted, hence its odd shape. This property of iridium makes it useful in high-temperature situations, such as spark plug electrodes. Scroll down to see examples of Iridium |
'Natural science > 화 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과 일 (0) | 2013.03.14 |
---|---|
빛과색 (0) | 2013.03.14 |
Osmiun(Os), 76-오스뮴 (0) | 2013.03.13 |
Rhenium(Re), 75-레늄 (0) | 2013.03.13 |
Tungsten(W),74-텅스텐 (0) | 2013.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