健康/자연속의 약초

[스크랩] 벽오동

나 그 네 2014. 12. 6. 14:17

 

 

 

 

 

벽오동

학명: Firmiana simplex (L.) W.F.Wight 

 

이명: 벽오동나무, 청오동나무 /영명: Chinese Parasol Tree, Chinese Bottle Tree, Japanese Varnish Tree,  /꽃말: 사모, 그리움

분류: 현화식물문 목련강 아욱목 > 벽오동과 > 벽오동속

원산지: 중국 /분포: 하와이, 대만, 중국, 인도차이나 /서식: /크기: 수고 15-20m. 

생약명: 종자, 根(근), 수피, 葉(엽), 花(화)를 약용한다.

 

낙엽활엽교목

벽오동과에 속한 낙엽 활엽 교목. 높이는 15미터 정도이고, 나무껍질은 초록빛이며, 손바닥 모양의 커다란 잎이 난다. 여름에 연한 황색 꽃이 피며, 가을에 열매를 맺는다. 재목은 단단하고 결이 곧으므로 악기나 나막신 따위의 재료가 되고, 껍질에서는 외올실을 뽑아내며, 나뭇진은 종이를 만드는 풀로 쓴다. 열매는 식용하며 관상용으로 심기도 한다. 원산지는 중국, 타이완 등지로 우리나라에서는 전라도와 경상도에서 자란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벽오동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33696&mn=KFS_28_01_02_01

 

 

-------------------------------------------------------------

잎은 호생하지만 가지 끝에서는 총생하고 끝이 3-5개로 갈라지며 길이와 나비가 각 16-25cm이고 열편은 넓은 난형이며 점첨두이고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양면에 털이 없으나 뒷면에 짧은 털과 맥액에 갈색 밀모가 있는 것도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엽병이 잎보다 길고 맥이 뚜렷하다. 오동잎과 비슷하다. 

 

열매는 5개의 분과로 되어 익기 전에 벌어져서 완두콩 같은 종자가 보이고 10월에 익는다. 

 

원추화서는 길이 25-50cm로서 가지 끝에 달리고 꽃은 단성으로서 6-7월에 피며 담황색이고 한 화서에 암꽃과 수꽃이 달린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1cm정도로서 뒤로 젖혀지고 꽃잎은 없으며 수술은 수술대가 합쳐져서 만들어진 1개의 통 끝에 10-15개의 꽃밥이 있다. 암술은 수술통 끝에서 서고 암술머리가 넓다. 

 

높이가 15m에 달하고 통직하며 수피는 성숙되어도 청녹색으로 평활하며 갈라지지 않고 줄기의 수피가 푸른색을 띄어 벽오동이라 한다. 

▶하와이, 대만, 중국, 인도차이나에 분포한다. 

 

내한성이 약해 중부내륙에서는 1년생 지상부가 종종 동해를 받으나 연수가 경과하면 추위에 강해진다. 사질양토에서 생장이 좋고 대기오염에 강하므로 도심지 식재가 가능하다. 

내한성: 중간  /토양: 비옥 

 

이식력이 약하므로 어린나무로 키울때 여러번 옮겨 심어 잔뿌리의 발달을 유도한 다음 이식하는 것이 좋다. 

결실기: 10월 

 

이용

▶주요 조림수종 : 내공해수종

▶대기오염에 강하고 바닷바람에 강하여 가로수, 공원수, 정원수로 식재한다.

▶열매는 볶아서 커피대용으로 이용하고 여기서 추출한 기름은 식용유로 사용한다.

▶가구, 건축, 상자, 찻그룻, 악기, 젓가락, 펄프로 사용한다.

▶수액은 제지용 풀, 수피는 섬유 및 약용으로 이용된다.

 

 

생약명:

종자, 根(근), 수피, 葉(엽), 花(화)를 약용한다.

 

⑴梧桐子(오동자) -

①성분 : 脂肪油(지방유-不乾性油(불건성유)) 39.69%, 무기성분 4.85%, 組纖維(조섬유) 3.69%, 단백질 23.32%, 非窒素物質(비질소물질) 28.45% 및 caffeine이 함유되어 있고 油(유)에서는 sterculin酸(산)이 분리된다.

②약효 : 順氣(순기), 和胃(화위), 消食(소식)의 효능이 있다. 傷食(상식), 胃痛(위통), 疝氣(산기), 小兒口瘡(소아구창)을 치료한다.

 

⑵梧桐根(오동근) -

祛風濕(거풍습), 和血(화혈), 通經絡(통경락)의 효능이 있다. 류머티성 관절통, 腸風下血(장풍하혈), 월경불순, 타박상을 치료한다.

 

⑶梧桐白皮(오동백피) -

①성분 : 수피에는 수분 40.63%, 무기성분 2.69%, 粗蛋白質(조단백질)4.16%, 粗脂肪(조지방) 2.47%, 粗(조) cellulose 25.14%, pentosan과 pentose 6.61%가 함유되어 있고 또 octacosanol, lupenone과 소량의 蔗糖(자당)이 함유되어 있다. 수피에서 浸出(침출)되는 점액에는 galactan, pentosan, uron酸(산), 단백질 등이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祛風(거풍), 除濕(제습), 活血(활혈),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류머티성 痲痺痛(마비통), 타박상, 월경불순, 치질, 丹毒(단독) 등을 치료한다.

 

⑷梧桐葉(오동엽) -

①성분 : Betaine, choline, β-amyrin, β-amyrin-acetate, β-sitosterol, hentriacontane 및 rutin 0.15%가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祛風(거풍), 除濕(제습), 淸熱(청열), 해독의 효능이 있다. 류머티즘에 의한 疼痛(동통), 마비, 癰瘡腫毒(옹창종독), 겸창,脛部潰瘍(경부궤양), 創傷出血(창상출혈), 고혈압증을 치료한다.

 

⑸梧桐花(오동화) -

淸熱(청열)하고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水腫(수종), 禿瘡(독창), 화상을 치료한다. 

 

 

 

 

특징

줄기의 수피가 벽색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벽오동이라 한다. 생장속도는 어릴때는 빠르나 자람에 따라 보통이다. 목재의 변재는 담황백색, 심재는 담황갈색으로 뚜렷히 구분되지는 않으나 연륜은 뚜렷하다. 환공재로 목리는 통직하고 나무갗은 거칠다. 내후 보존성은 매우 나쁘나 절삭가공, 건조 및 할열 등이 양호하다. 

 

병충해

▶병해 : 눈마름병, 줄기마름병. 

▶줄기마름병: 질소질 비료의 과용을 피하고 동해나 피소를 막기 위하여 나무줄기에 백색수성페인트를 발라준다. 

 

재배법

채종 및 저장

을에 익은 열매를 채취하여 열매를 턴 다음 1~2일간 물에 넣은 뒤 종자를 건조하면 발아력을 거의 잃으므로 물기가 어느 정도 빠진 것을 밀봉하거나 모래와 섞어 냉장고에 보존하거나 노천 매장을 한다.

 

파종 및 옮겨심기

저장 종자는 채종 이듬해 3~4월에 파종을 한다. 직파의 경우에는 4월, 봄 파종 시에는 파종 후 5주 후에 발아가 시작된다. 종자가 건조 피해를 입으면 이듬해 발아가 될 수도 있으므로 마르지 않도록 주의한다. 옮겨심기는 이듬해 겨울눈이 활동하기 전에 굴취해서 제곱미터당 5~10본 정도로 한다. 1년째의 옮겨심기를 생략하려면 파종 간격을 20~25cm로 해서 2년째 봄에 옮겨심기를 한다.

 

 

 

 

 

 

브리태니커

벽오동 [Chinese parasol tree, 碧梧桐]

 

아욱목(―目 Malvales) 벽오동과(碧梧桐科 Sterculiaceae)에 속하는 교목.

아시아가 원산지이며 키가 12m까지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너비가 30㎝에 달하며 낙엽이 진다. 꽃은 작고 녹색이 감도는 흰색이며 무리지어 핀다. 북아메리카의 따뜻한 지역에서는 관상용으로 기르고 있다.

 

한국에서 옛날부터 자라던 나무인지 아니면 중국에서 들여와 널리 심었던 나무인지 확실하지 않다.

조선시대의 문헌에 벽오동나무를 정원에 심었다는 기록이 있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그 이전부터 관상용 나무로 심어왔던 것으로 생각된다.

 

오동나무처럼 잎이 크나 줄기의 색이 푸르기 때문에 벽오동(碧梧桐)이라고 부른다.

옛날에는 벽오동나무를 그냥 오동나무 또는 오(梧)로, 오동나무는 동(桐)이라고 불렀다. 열매는 아주 특이하게 맺히며 익기 전에 5조각으로 갈라진다. 갈라진 각 조각들은 사람들이 타고 다니는 배처럼 생겼는데, 이 조각의 가장자리에 몇 개씩의 씨가 달려 있다.

씨는 완두콩처럼 생겼는데, 오동자(梧桐子)라고 부르며 볶아서 커피 대신으로 쓰기도 하며 구워 먹기도 하는데, 폐·간·심장을 튼튼하게 해주며 소화를 도와주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줄기에서 뽑아내는 인피섬유는 물기에 잘 견디기 때문에 조포를 짜거나 밧줄을 만드는 데 쓴다. 꽃을 잘 말려 가루로 만들어 화상 입은 곳에 바르면 잘 낫는다고 한다.

 

양지바른 곳에서 잘 자라는 나무로, 가지가 많이 달리나 뿌리는 깊게 내리지 않는다. 공해에는 잘 견디나 추위에는 약하여 주로 남쪽지방에서 자라지만, 서울에서도 겨울을 날 수는 있다.

 

벽오동나무는 옛날부터 상서로운 나무로 알려져왔다.

즉 "벽오동 심은 뜻은 봉황을 보렸더니"로 시작하는 노래가 있는데, 이 말은 봉황새가 나타나면 온 세상이 태평하게 되며, 이때 나타난 봉황새는 대나무 열매만을 먹고 벽오동나무에만 둥지를 짓고 사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를 빗대어 하는 말이다.

 

 

 

 

 

한국민속문화대백과사전

벽오동

 

한자 碧梧桐

학명 Firmiana simplex W. F. WIGHT.

외형(크기, 길이, 높이) 높이 15m|직경 40㎝

개화시기 6∼7월

집필자 조무연

 

학명은 Firmiana simplex W. F. WIGHT.이다. 높이 15m, 직경 40㎝에 이르며, 나무껍질은 벽색으로 특이하다. 잎이 오동나무의 잎과 같게 생겼으나 나무껍질이 초록색으로 다르다 하여 벽오동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현재 중부 이남의 각 지역에 많이 식재되어 있으나 원래는 하와이·중국·대만·인도네시아에 자생하는 수목이다. 내한성이 약하여 서울 이북지역에서는 월동이 불가하며, 서울에서도 어려서는 특별히 보호를 해주어야 피해가 없다.

 

꽃은 6∼7월에 가지 끝에 원추화서(圓錐花序: 원뿔형의 꽃차례)로 엷은 황색의 꽃을 피운다. 열매는 10월에 익는데 봉선에 따라서 갈라져 마치 돛단배 모양으로 피어 가운데 4, 5개의 콩과 같은 열매를 맺는다.

 

비교적 조풍(條風: 북동풍)에 강하고 각종 공해에도 견디는 힘이 좋아, 각국에서 가로수·공원수·정원수로 많이 심고 있다. 열매는 볶아서 커피 대용으로 이용하며 여기에서 추출한 기름은 식용유로도 사용한다.

 

번식은 가을에 익은 종자를 채종하여 노천매장하였다가 이듬해에 파종한다. 한방에서는 종자를 소화불량·위통·구내염·내산(內疝) 등에 치료제로 사용한다. 벽오동은 예전부터 봉황이 깃들이는 곳이라 믿어 왔다.

 

경상남도 함안은 한때 가야국의 진관지(鎭管地)였던 곳으로 정구(鄭逑)가 벽오동과 대나무 숲을 만든 바 있다. 그 이유는 함안의 뒷산은 풍수에 의하면 비봉형(飛鳳形)이므로 당시 군재(郡宰)였던 정구가 땅을 모아 봉란(鳳卵)을 만들고 동북방에 벽오동 천 그루를 심고 대숲을 조성하여 비봉이 영구히 그곳에 머물게 하려던 것으로, 봉황과 벽오동의 관계에 관한 우리 선조들의 사고를 잘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대한식물도감(大韓植物圖鑑)』(이창복, 향문사, 1982)

『나무백과(百科)』(임경빈, 일지사, 1977)

「조선시대(朝鮮時代)의 주요조경식물(主要造景植物)의 상징성(象徵性)에 관한 연구(硏究)」(이외희, 서울대학교환경대학원석사논문, 1986)

 

 

 

가을로 접어들면 익어 가는 열매의 모양이 너무 신기하다. 작고 오목하 여 마치 조그마한 장난감 보트처럼 생긴 껍질(心皮)의 가장자리에 쪼글쪼 글한 콩알 크기의 열매가 3-4개씩 붙어있다. 건드리면 금세 톡! 떨어질 것 처럼 불안정하게 보이지만 껍질이 바람에 멀리 날아가도 땅에 닿을 때까지 는 꼭 붙어있다.

 

벽오동나무는 잎이 크며 오동나무와 잎이 매우 닮아 있고 줄기의 빛깔이 푸르기 때문에 벽오동(碧梧桐)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그러나 벽(碧)자는 벽공이라 하듯이 하늘빛에 가까운 색이나 벽오동의 줄기는 녹색이 더 강하 다. 북한에서는 청오동이라 하는데, 훨씬 친근감이 있고 한자로도 청오(靑梧) 혹은 청동목(靑桐木)이라고 하니 벽오동보다는 청오동이 더 어울린다.

 

옛 문헌에는 벽오동이라고 명확하게 오동나무와 구분하여 쓰지 않고 그 냥 오동(梧桐)이라고 하였다. 본초강목에서와 같이 오동은 벽오동을 말하 고, 동(桐)은 오동이라 하여 따로 설명한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의 문헌에 는 그 구분이 엄밀하지 않았다. 빨리 자라고 악기재로 쓰이며 잎 모양새가 오동나무와 비슷한 벽오동나무를 옛 선비들이야 복잡하게 따로 구분할 필 요가 없었는지 모른다. 그러나 식물학적으로는 벽오동나무와 오동나무는 사돈의 팔촌도 넘는 거의 완전한 남남이다.

 

 

 

 

다음 TiP

벽오동나무(약명 : 오동자)

http://tip.daum.net/openknow/3840107?category_id=OJ

약재에 대하여

우리 겨레가 상서롭게 여기는 봉황은 벽오동나무에만 둥지를 틀며 먹이는 대나무 열매만을 먹는다고 믿어왔는데, 벽오동나무에 봉황이 깃들어 청아한 소리로 울면 온 천하가 태평해진다 하여 사람들은 벽오동나무를 즐겨 심었다.

벽오동과에 딸린 넓은잎큰키나무로 키가 20M쯤까지 자란다. 줄기는 곧게 자라고 자라는 속도가 빠르다. 한 해에 한 마디씩 자라므로 마디 수를 세어 보면 나이를 알 수 있다. 잎은 부채처럼 널찍하고 줄기 껍질은 진한 녹색이다. 꽃은 6~7월에 흰빛으로 피고 열매는 가을에 익는다.

벽오동은 그 열매의 생김새가 특이하다. 마치 작은 표주박 다섯 개를 모아 놓은 듯 가운데가 오목하다. 그래서 어떤 이들은 이 열매의 모양을 보고 바람개비 같다고도 하고 돛단배 같다고도 했다. 갈색의 팥알 만한 씨앗이 돛단배처럼 생긴 열매의 가장자리에 달여 있다.

벽오동은 중국과 한국, 일본에서 선비 정신의 상징으로 본다. 줄기의 곧고 푸른 모습과 시원스럽게 넓은 잎 같은 것이 선비의 절개를 상징한다고 하여 서당이나 정자 근처에 즐겨 심어왔다.

 

약성 및 활용법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풍습을 없애고 열을 내리며 독을 푼다. 약리실험에서 알코올 추출액이 근육의 긴장도를 높이고 심장의 수축작용을 세게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정신 및 육체적 피로, 병후 쇠약에 쓰며 풍습으로 인한 아픔, 마비, 부스럼, 치질, 창상, 출혈, 고혈압 등에도 쓴다. 하루 15~30g을 달여 먹는다. 외용으로 쓸 때에는 신선한 것을 짓찧어 붙이거나 가루 내어 기초제에 개어 바른다. 벽오동나무 씨는 소화장애, 위통, 몸이 붓는 데, 어린이 구내염, 머리칼이 희어지는 데 쓴다. 벽오동 뿌리에는 뼈마디가 아프거나 부정자궁출혈, 생리가 고르지 않을 때, 타박상 등에 쓴다.

 

증상별 적용 및 복용법

▶벽오동나무 씨앗은 오동자라 하여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정력을 좋게 하는 약으로 쓴다. 이 씨를 볶아서 가루 내어 먹으면 맛이 고소하고 또 커피 대신 물에 타서 마실 수 있다. 벽오동나무 씨앗은 지방유와 단백질이 들어 있고 카페인도 조금 들어 있어서 커피 대신 음료로 이용해 볼 수도 있다.

▶벽오동나무 껍질을 한여름이나 가을철에 벗겨 찬물에 담가 두었다가 나오는 진을 그릇에 받아 두었다가 한 번에 50g씩 하루 2~3번 마시면 관절염, 디스크, 요통에 효과가 탁월하다.특히 남성의 신장 기능과 폐 기능을 강화하는 데 효과가 크다. 노인들이 신장 기능이 허약하여 생긴 요통에도 잘 듣는다. 또 간에 쌓인 독을 풀고 간 기능을 좋게 하는 데도 효과가 있다. 또 남성들의 양기 부족에도 깜짝 놀랄 만큼 효과가 있다.

 

 

 

 

 

사진출처 - 워키피디아

 

 

벽오동 | 식물도감(植物圖鑑)

벽오동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4. - 4,903種중 (2108. 버드나무과 - 2732. 뽕나무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출처 :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글쓴이 : 호남인 원글보기
메모 :

'健康 > 자연속의 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자'라 함은, 오자의 효능들  (0) 2015.02.17
토복령  (0) 2014.12.10
[스크랩] 수까치깨  (0) 2014.12.06
[스크랩] 자주조희풀  (0) 2014.12.06
[스크랩] ★식방풍 갯방풍 재배★  (0) 2014.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