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자번호 23번, 바나듐. <출처: (CC)Alan J. Goulet at Wikipedia.org> |
바나듐의 원소 정보. |
|
역사와 분리∙발견: 발견-취소-재발견
|
|
|
|
물리적 성질
|
|
|
바나듐의 바닥 상태 전자 배치. <출처: (CC)Pumbaa at Wikipedia.org> |
바나듐은 수용액에서 산화 수가 +2~+5인 이온으로 있는데, 산화 상태에 따라 V2+는 보라색, V3+는 녹색, VO2+는 진한 청색, VO43-는 노란색을 띤다. |
|
|
|
|
크랭크 축. 바나듐 고탄소강은 바나듐의 함량이 0.15~0.25%인 바나듐 강으로, 차축, 크랭크 축, 자전거 골격 등을 제작하는 데 사용된다. <출처: (CC)Alex Kovach at wikipedia.org> |
고속 공구강 드릴의 날이 알루미늄에 구멍을 뚫는 모습. 바나듐 강 중에서 바나듐의 함량이 1~5%인 것을 고속 공구강이라 하는데, 고속 공구강은 고속 절삭 공구를 만드는 데 주로 사용된다. <출처: (CC) JJ Harrison at wikipedia.org> |
|
아름다운 색깔을 띠는 멍게 류에는 많은 양의 바나듐이 농축되어 있다. <출처: (CC)Samuel Chow at Wikipedia.org> |
광대버섯과 같은 독 버섯 역시 바나듐을 농축시키고 있으나, 바나듐의 정확한 생물학적 기능은 알려지지 않았다. <출처: (CC)Onderwijsgek at Wikipedia.org> |
|
- 수치로 보는 바나듐
바나듐의 표준원자량은 50.9415 g/mol이다. 원자의 바닥 상태 전자배치는 1s22s22p63s23p63d34s2 ([Ar]3d34s2)이며, 화합물에서는 -1에서 +5까지의 여러 산화수를 갖는데 +4 상태가 가장 안정하다. 지각 무게의 약 0.19%를 차지하는 19번째로 풍부한 원소이며, 화석 연료에도 미량 들어있다. 2002년 전세계 생산량은 약 67,000톤이며, 이의 약 85%는 페로바나듐으로 생산되어 강철 첨가제로 사용된다. 1기압에서 녹는점은 약 1,900oC, 끓는점은 약 3,400oC이다. 20oC에서 밀도는 6.11g/cm3이다.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이온화 에너지는 각각 650.9, 1414, 2830kJ/mol이며, 폴링의 전기음성도는 1.63이다. 원자 반경은 134 pm이고, 6배위된 V4+의 이온 반경은 58 pm이다. 천연 동위원소는 50V(0.25%)와 51V(99.75%) 2가지가 있다.
발행일 2012.02.01
Vanadium
Atomic Weight | 50.9415 | |
Density | 6.11 g/cm3 | |
Melting Point | 1910 °C | |
Boiling Point | 3407 °C | |
Full technical data |
This curl of vanadium was cut from a cylinder on a lathe. A few percent of vanadium in steel creates hard, tough alloys, but the pure metal has few applications. Traces of it give emerald a green col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