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원소번호 63번 유로퓸 <출처: (cc) Lars Aronsson> |
유로퓸의 원소정보 |
|
유로퓸은 유로(Euro)화 지폐의 위조 방지에도 사용된다. 유로화 지폐에는 유로퓸 착화합물이 들어간 형광 잉크로 인쇄된 부분이 있는데,
자외선 아래서만 붉은색 무늬로 나타난다.
|
유로퓸 금속 사진 <출처: (cc) http://images-of-elements.com>
|
|
|
|
|
아르곤 기체로 채워진 상자에 들어있는 고순도 유로퓸을 다루고 있는 모습. <출처: 출처 (cc) Alchemist-hp at wikimedia.org>
|
컬러 브라운관 화면. 컬러 브라운관의 안 쪽에는 유로퓸이 들어간 형광체가 다른 형광체와 함께 칠해져 있다. |
유로퓸이 포함된 형광체는 절전형 전구식 형광등에도 쓰인다. <출처: (cc) PiccoloNamek at en.wikipedia.org> |
|
|
산화된 유로퓸 사진 <출처: (cc) http://images-of-elements.com>
|
황산유로퓸(Eu2(SO4)3), 평소에는 소금 같아 보이나, 자외선을 쬐면 붉은 빛을 낸다. <출처: (cc) http://images-of-elements.com/>
|
수치로 보는 유로퓸
유로퓸의 표준원자량은 151.964g/mol이고, 원자의 바닥 상태 전자배치는 1s22s22p63s23p63d104s24p64d105s25p64f76s2([Xe]4f76s2)이며, 화합물에서 주된 산화 수는 +3이나, +2의 산화상태를 갖는 화합물들도 흔하다. 지각에서의 존재 비는 약 1.8ppm(0.00018%)이며, 모나자이트 광석에 전체 희토류의 약 0.05%, 그리고 희토류광에는 약 0.1~0.2%의 비율로 들어 있다. 1기압에서 녹는점은 826oC이고 끓는점은 1527oC이며, 25oC에서의 밀도는 5.234g/cm3이고 녹는점에서의 액체 밀도는 5.13g/cm3이다.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이온화 에너지는 각각 547.1, 1085, 2404 kJ/mol이며, 폴링의 전기 음성도는 1.12 이다. 25oC에서의 전기비저항은 900nΩ∙m이다. 원자 반경은 208.4pm(비교: Sm, 180.4pm; Gd, 180.4pm)이며, 6 배위체의 Eu3+ 이온 반경은 94.7pm (비교: Sm3+, 95.8pm; Gd3+, 93.8pm)이다. Eu3+/Eu2+ 와 Eu3+/Eu의 표준 환원 전위는 각각 -0.35V와 -1.99V이다. 천연상태에서 151Eu(47.8%)와 153Eu(52.2%)의 2가지 동위원소로 존재하는데, 151Eu는 α-붕괴를 하는 방사성 동위원소로 반감기는 5x1018년이다. 전세계 연간 생산량은 Eu2O3로 환산해서 약 390톤이고, 전세계 매장량은 15만톤으로 추정된다. 가장 값비싼 희토류 원소 중의 하나이다.
형광체(phosphor), 인광(phosphorescence)과 형광(fluorescence)
엄밀하게는 인광체를 뜻하는 ‘phosphor’를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형광체’라 부른다. 이때의 ‘형광체’는 빛, 전자, X-선, 방사선 등을 쪼이면 빛을 방출하는 물질 모두를 가리키며, 이에는 빛 방출이 에너지 쪼임 후 수십 나노 초(ns, 1 ns=10-9초) 이내에 완료되는 형광(fluorescence)을 내는 물질인 엄밀한 의미의 형광체(fluorophore)와 1 밀리 초(ms, 1 ms=10-3초) 이상 지속되는 인광(phosphorescence)을 내는 물질인 인광체(phosphor)가 모두 포함된다. 많은 유기화합물들이 형광을 내기는 하나, 브라운관(음극관, CRT) 등의 영상 화면과 형광등에 사용되는 형광체는 흔히 전이금속 또는 희토류 금속 이온이나 원자를 활성제(activator)로 사용한다. 형광체에는 모체(host) 물질에 활성제(activator)가 첨가되어 있는데, 형광체에 빛, X-선, 전자, 방사선 등의 에너지를 쪼였을 때 모체가 흡수한 에너지는 여러 경로로 활성제에 전달되어 활성제가 들뜨게 되고, 들뜬 활성제가 바닥 상태로 붕괴되면서 들뜬 상태와 바닥 상태의 에너지 차이에 해당하는 파장의 빛이 방출되게 된다. 형광은 들뜬 상태에서 바닥 상태로의 붕괴가 양자역학적으로 허용된 경우에 방출되는 빛이고, 인광은 허용되지 않는 경우에 방출되는 빛이다. 레이더(radar) 화면이나 야광 장난감 등에는 지연 시간이 긴 인광을 내는 물질이 사용되는 반면, 영상 화면, 백색 LED, 센서 등에는 형광 물질이나 지연 시간이 짧은 인광을 내는 물질을 주로 사용한다.
발행일 2012.11.28
Europium
Europium compounds are widely used in phosphors for cathode ray TV screens and in compact fluorescent bulbs. Pure crystals like this are useful only as a source of europium to be turned into compounds. Scroll down to see examples of Europium. |
'Natural science > 화 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rbium(Tb), 65-터븀(테르븀) (0) | 2012.12.28 |
---|---|
Gadolinium(Gd), 64-가돌리늄 (0) | 2012.12.26 |
Samarium(Sm), 62-사마륨 (0) | 2012.12.26 |
Promethium(Pm),61-프로메튬 (0) | 2012.12.26 |
Neodymium(Nd), 60-네오디뮴 (0) | 2012.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