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원자로 제어봉에 쓰이는 원자번호 72번, 하프늄 | 하프늄의 원소 정보 |
|
|
|
|
|
하프늄 금속 덩어리와 고순도 입방체. 오른쪽은 표면이 얇게 산화된 하프늄. <출처: (cc)Alchemist-hp at Wikipedia.org>
|
|
|
|
|
지르콘(zircon). 하프늄은 지르콘 등 지르코늄 광석에 소량 들어있는데, 주로 지르코늄 생산의 부산물로 얻는다. <출처: (cc) Rob Lavinsky / iRocks.com>
|
원자력 발전소 전경. 하프늄의 약 60%는 원자로 제어봉에 사용된다. <출처: (cc) Hullie at Wikimedia.org>
|
플라스마 절단 장비. 플라스마 절단 장비의 전극으로 하프늄을 사용함으로써 이 장비의 혁신을 가져왔다. <출처: (cc) Devaes at en.wikipedia>
|
테트라벤질하프늄 | 이염화하프노센 |
|
아폴로 달 착륙선. 하프늄의 약 30%는 초내열성 합금에 쓰이는데, 아폴로 달 착륙선 로켓 노즐에 하프늄 합금이 사용되었다.
|
하프늄 금속 결정체(1.7kg). <출처: (cc)Alchemist-hp at Wikipedia.org>
|
수치로 보는 하프늄
하프늄의 표준원자량은 178.49g/mol이고, 원자의 바닥 상태 전자배치는 1s22s22p63s23p63d104s24p64d105s25p64f145d26s2([Xe]4f145d26s2)이며, 화합물에서 주된 산화 수는 +4이다. 지각에서의 존재 비는 약 5.3ppm(0.00053%)으로, 대략 45번째로 풍부한 원소이다. 1기압에서 녹는점은 2230oC이고 끓는점은 4600oC이며, 25oC에서의 밀도는 13.29g/cm3이고 녹는점에서의 액체 밀도는 12g/cm3이다. 녹음열과 증발열은 각각 27.2kJ/mol과 571kJ/mol이다, 실온에서의 전기비저항은 311nΩ·m이다. 결정은 육방조밀격자(hcp) 구조를 가지나 1760oC에서 체심입방(bcc) 구조로 전이된다.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이온화 에너지는 각각 658.5, 1440, 2250kJ/mol이며, 폴링의 전기 음성도는 대략 1.3이다. 원자 반경은 159pm(비교: Zr, 160pm)이고, 6배위체의 Hf4+ 이온 반경은 71pm(비교: Zr4+, 72pm)이다. 천연상태 동위원소는 174Hf(0.16%), 176Hf(5.20%), 177Hf(18.60%), 178Hf(27.30%), 179Hf(13.63%), 180Hf(35.1%)의 6가지인데, 174Hf는 반감기가 2x1015년인 α붕괴를 하는 방사성 동위원소이다. 전세계 연간 생산량은 약 100톤이고. 추출해서 생산 가능한 자원은 약 5000톤으로 추정된다. 원자로 제어봉에 약 60%, 초내열성 합금에 약 30%, 플라스마 절단 장비 등에 약 10%가 사용되고, 고집적 반도체 칩 등에도 사용된다.
발행일 2013.01.30
Hafnium
This remarkable image shows the inside surface of a huge high-purity hafnium crystal bar from Russia. The vapor deposition process used to make this bar yields the purest hafnium known. Scroll down to see examples of Hafnium. |
'Natural science > 화 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Tungsten(W),74-텅스텐 (0) | 2013.03.13 |
---|---|
Tantalum(Ta), 73-탄탈럼 (0) | 2013.02.13 |
Lutetium(Lu), 71-루테튬 (0) | 2013.01.23 |
Ytterbium(Yb), 70-이터븀,이테르븀 (0) | 2013.01.17 |
The Photogarphic peroidic table of the elements (0) | 2013.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