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그 “통킹만 사건 연상…합조단 보고서 전부 공개해야”
<한겨레> 인터뷰서 “러시아의 천안함 조사 활동 한국이 방해”
“당시 정황으로 볼 때 북한이 공격했다는 건 이해안돼”
|
-러시아 조사단이 (어뢰 공격이 아닌, 기뢰 폭발에 의한 것이라는) 결론을 내린 근거는?
“러시아 조사단의 결론은 잠정적인 것이다. 그들은 합조단의 조사 결과에 접근하지 못했고, 이를 바탕으로 한 가상실험도 못했다.”
-그렇다면 러시아 조사단의 결론은 불확실한 것 아닌가? 그럼에도 기뢰라는 판단은 어떻게 나왔나?
“(합조단 발표에 따르면) 천안함은 어뢰 발사로 인해 발생한 버블제트에 의해 단번에 두 동강 나 침몰했다. 북한 사정을 잘 아는 러시아는, 북한이 이런 수준의 고성능 무기 제작능력이 없고 보유하고 있지도 않다고 판단했다.”
-러시아 조사단은 조사 과정에서 한국 정부의 도움을 못 받았나?
“러시아는 원했던 자료에 접근할 수 없었고, 실험도 허용되지 않아 조사를 진행할 수 없었다. 중국 조사단이 한국에 안 간 것도 이 때문이다.”
-일부 한국 정부 관계자들은 중국이 천안함 조사를 않는 이유에 대해 비공식 자리에서 ‘진실을 아는 것을 원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이번주에 2명의 중국 고위급 관계자로부터 이런 이야기를 들었다. ‘러시아 쪽에서 한국에 가더라도 아무 정보를 얻을 수 없으니 조사팀을 서울에 보낼 필요도 없다는 충고를 들었다’고. 중국은 조언을 따랐다.”
-당신도 천안함 침몰 원인이 북한 공격이 아닌 사고라고 생각하나?
“모른다. 다만 당시 북한은 3차 남북정상회담을 제안했고, 북-미 대화를 추진중이었고, 김대중 전 대통령 부인 이희호씨의 평양 방문을 초청한 상태였다. 그 상황에서 천안함 침몰로 모든 상황을 스스로 뒤엎는다는 게 이해되지 않는다.”
-합조단 보고서를 신뢰하지 않나?
“한국 정부는 보고서 내용을 완전히 공개하지 않는다. 그래서 객관성이 입증되지 않았다. 내가 두려워하는 건 (한국 정부가) ‘합조단 보고서는 기밀이다. 우리는 이를 말할 수 없다’는 방식으로 자신을 방어하는 것이다. 그 경우, 진실은 우리를 교묘히 피한다. 베트남전 확전의 계기가 됐던 1964년 통킹만 사건을 연상시킨다. 한국 정부는 합조단 보고서의 모든 내용을 모두에게 공개해 천안함 침몰 원인을 누구나 정확히 알도록 해야 한다.”(통킹만 사건은 통킹만에서 작전수행중이던 미 구축함이 북베트남으로부터 어뢰 공격을 당했다는 주장으로, 미국의 본격적인 베트남전 개입 계기가 됐다. 이후 베트남전 개입을 위한 미국의 조작극이었음이 밝혀졌다.)
그레그 전 대사는 지난 73~75년 미국 중앙정보국(CIA) 한국지부 총책임자로 한국과 인연을 맺은 뒤 89~93년 주한 미 대사로 근무했다. 그레그 전 대사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73년 납치사건, 80년 신군부에 의한 사형선고 당시, 두번이나 미 정부를 통한 구명운동을 벌이는 등 김 전 대통령과 각별한 인연을 맺어왔다.
워싱턴/권태호 특파원 ho@hani.co.kr
[관련영상] “천안함 러시아 보고서, MB에 타격줄 수 있어”
‘지한파’ 도널드 그레그는 누구?
도널드 그레그 전 주한 미 대사는 미국 내의 대표적 지한파 인물이다. 1951년 미국 중앙정보국(CIA) 정보원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한 그레그 전 대사는 1973-1975년 CIA 한국지부 총책임자로 한국과 인연을 맺었다. 그는 이후 1989-1993년 주한 미 대사관 대사로 한국과 다시 인연을 맺기까지 미국 국가안보회의 위원(1979~1981)과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안보담당 보좌관(1982-1988년)으로 계속 정보와 안보 부문에서 경력을 쌓았다.
그레그 전 대사는 특히 김대중 전 대통령과 각별한 인연을 맺고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레그 전 대사가 CIA 한국지부장으로 재임한 첫해인 1973년 8월8일 김 전 대통령이 일본 도쿄에서 납치되면서 구명작업에 깊숙이 개입한 것이 계기였다. 당시 그레그 지부장은 김대중 납치사건이 한국 중앙정보부에 의해 일어난 것이라고 결론을 내리고, 당시 하비브 주한 미대사와 함께 사태 해결에 힘썼다. 김대중 전 대통령이 납치 13일 만에 생환할 수 있었던 것은, 일본 정부의 노력과 함께 그레그 전 지부장의 노력이 큰 구실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레그 전 대사는 또 1980년 5ㆍ18 광주 민주화운동 뒤 김 전 대통령에게 사형선고가 내려졌을 때도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의 특사로 한국에 급파돼 김대중 구명운동을 벌였다.
|
||||||
도널드 그레그 전 대사는 주한 미 대사직을 마치고 미국에 돌아간 뒤는 뉴욕 맨해튼에서 코리아 소사이어티를 구성한 뒤 한국과 미국의 가교 구실을 해오고 있다. 코리아 소사이어티는 뉴욕에서 한국을 소개할 수 있는 각종 강연회나 전시회 등을 개최함으로써 미국 내에 한국을 알리는 데 큰 구실을 해오고 있다. 초기 회장으로서 직접 활동을 해왔던 그는 현재는 이사장으로서 코리아 소사이어티의 업무를 전반적으로 조율하고 있다.
이렇듯 그레그 전 대사는 지한파이면서도 공화당의 핵심 요직을 지냈고, 한국 관련 정보활동에 정통한 인물이다. 이런 비중을 가진 도널드 그레그가 천안함과 관련해 잇따라 발언하고 있는 데 대해 그 의미에 대한 해석이 분분하다. 더욱이 그의 “러시아가 조사 보고서를 밝히지 않는 이유는 이를 공개하면 이명박 정부에 큰 타격이 되기 때문”이라는 내용의 그의 기고문이 뉴욕임스에 실린 것 등을 고려할 때 미국 내에서 천안함을 한국 정부와는 다른 시각으로 재검토해봐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것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e뉴스팀
'Living daily > 사 건, 사 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베트남 전쟁과 통킹만 사건 (0) | 2010.09.04 |
---|---|
천안함 대북 제재, 통킹만 사건 되풀이 우려 (0) | 2010.09.04 |
통킹 만 사건 [Gulf of Tonkin Incident] (0) | 2010.09.04 |
과연 이승만은 독재자인가? (0) | 2010.08.09 |
日, 한국에 참회하고 아시아로 돌아오라 (0) | 2010.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