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화수 변화 - 전자를 잃으면 산화이고 얻으면 환원
![](http://ncc.phinf.naver.net/ncc01/2011/9/28/53/17.jpg)
산화(oxidation)는 분자, 원자, 이온이 전자를 잃고, 산화수(oxidation number)가 증가하는 것을 말한다. 전기적으로 중성인 분자 혹은 원자가 전자(electron)를 잃으면 양이온이 된다. 양성자와 전자의 개수가 같은 원자는 전기적으로 중성이며, 그 때 산화수는 0 이다. 만약에 그 원자가 자발적으로 전자 1개를 내 놓았든지 혹은 외부의 힘에 의해 전자 1개를 빼앗겼다면 그 원자는 더 이상 전기적으로 중성이 아니다. 결국 그 원자는 전자의 개수보다 양성자의 개수가 1개 더 많은 양이온이 된 것이며, 그 양이온의 산화수는 +1(원소기호 다음에 위 첨자로 +1 혹은 + 를 적어서 양이온임을 표기한다.)이다. 분자나 이온의 경우에도 같은 원리가 적용이 된다.
예를 들어 철(Fe)이 전자를 2개 잃으면 철 양이온(Fe2+, Fe++, 혹은 Fe(II)로 표기)이 되고, 그것의 산화수는 +2이다. 그 양이온이 전자를 1개 더 잃으면 (빼앗기면) 그것은 Fe3+ 혹은 Fe(III)으로 표기되는 3가 철 이온이 된다. 이와 같이 산화수가 0 에서 1 혹은 2로, 다시 2 에서 3으로 증가하는 것을 산화라고 표현한다. 반면에 전기적으로 중성인 원자가 전자를 얻거나 혹은 빼앗으면 전기적으로 음성을 띤 음이온이 된다. 예를 들어서 염소(Cl) 원자가 전자를 1개 얻는다면(혹은 다른 원자나 분자로부터 전자를 빼앗는다면), 결국에는 양성자 개수 보다 전자 개수가 많아 음이온이 된다. 염소 음이온은 보통 Cl- 혹은 Cl-1 로 표기하며, 그것의 산화수는 -1 이다. 이 경우처럼 전자를 얻어서 분자, 원자, 이온이 본래의 산화수보다 감소하는 경우는 환원(reduction)이라 한다.
금속이 산소를 얻으면 산화, 잃으면 환원
![](http://ncc.phinf.naver.net/ncc01/2011/9/28/53/17.jpg)
분자, 원자, 혹은 그것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화학물질은 주변 환경 혹은 그 자신의 특성으로 인해서 산화되는 속도와 정도가 다르다. 많은 금속은 전자를 쉽게 잃어버리고 양이온으로 변한다. 그 양이온은 주변 환경에 따라 이온상태로 존재하거나 혹은 산소와 반응 혹은 산소를 포함하는 다른 분자나 이온과 반응하여 금속산화물로 변신을 한다. 예를 들어 금속 철(Fe)을 포함하고 있는 철광석(iron ore)은 철 산화물이 다른 광물과 함께 섞여 있는 돌덩어리이다. 철이 산소와 반응하여 철 산화물이 형성되고 다른 물질과 섞인 뭉치가 철광석인 것이다. 철을 이용하여 각종 도구를 만들려면 철광석에 철을 뽑아내야 된다. 그 도구들에 페인트 칠과 같이 부식 방지 수단을 사용하지 않으면 금새 뻘건 녹이 슬어 버린다.
철광석에서 철을 추출하는 것은 철 산화물에서 철로 환원시킨 것이며, 뻘건 녹은 철이 철 산화물로 산화된 것이다. 철 산화물에서 산소를 제거하면 철이 되고, 철에 산소가 더해 지면 철 산화물이 되므로 산소가 제거되는 과정을 환원, 산소가 더 해지는 과정을 산화라 해도 된다. 산화수의 증감으로 산화 환원을 구별하기도 하지만 산소의 득과 실로 산화 환원을 구별할 수 있다는 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