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원자번호 86번 라돈. <출처 : The Radiological Protection Institute of Irelan> |
라돈의 원소 정보. |
|
대지나 지하수에 포함된 라듐에서 라돈이 생성되고, 이것이 환기가 잘되지 않은 건물 내부에 축적될 수 있는데, 라돈은 폐암 등을 유발하는 방사성 기체이므로,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출처: Natural Resources Canada>
|
|
|
|
|
|
|
|
|
|
아일랜드의 방사선 방호 기관의 라돈 검출장치. 장치를 받아 3개월 놓아 두었다가 기관에 돌려주면 라돈 농도를 알려준다. <출처: The Radiological Protection Institute of Ireland>
|
러더퍼드가 1908년에 촬영한 라돈의 방출 스펙트럼. 가운데가 라돈의 스펙트럼이며 위와 아래는 헬륨의 스펙트럼이다.
|
|
|
|
|
|
미국 환경보호국(EPA)가 미국 내 라돈 위험성을 지역별로 조사한 그림. 붉은색이 더 위험한 지역이다. 미국 환경보호국은 모든 가정에서 라돈 함량을 조사해야 한다고 권하고 있다.
|
수치로 보는 라돈
자연에 존재하는 라돈 동위원소는 주로 222Rn로, 이의 원자 질량은 222g/mol이며, 라돈 원자의 바닥상태 전자배치는 1s22s22p63s23p63d104s24p64d105s25p64f145d106s26p6 ([Xe]4f145d106s26p6)이다. 222Rn은 반감기가 3.8235일로, 라돈 동위원소 중 반감기가 가장 길다. 건조된 대기 중에 평균 약 6x10-14ppm의 부피 비율로 들어있으며, 전체 대기에서의 라돈 총량은 100g 미만으로 짐작된다. 화강암에는 1.7x10-10ppm의 무게 비율로 갇혀 있다. 녹는점은 -71.15oC이고 끓는점은 -61.85oC이며, 녹음열과 증발열은 각각 약 3.247 kJ/mol과 18.10 kJ/mol이다. 0oC, 1기압에서의 기체 밀도는 9.73g/L로, 공기보다 약 8배 무거우며, 끓는점에서 액체 밀도는 4.4 g/cm3이다. 첫 번째 이온화 에너지는 1037 kJ/mol이며, 폴링의 전기음성도는 2.2이다. 물에 대한 용해도는 20oC에서 230 cm3/L이다.
기체의 용해도와 헨리의 법칙(Henry’s law)
주어진 온도에서 단위 부피의 용매에 녹아있는 기체의 양은 헨리의 법칙(Henry’s law)에 따라 기체 분압(p)에 비례하는데,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p=kHc이다. 여기서 kH는 헨리 상수로, 이는 기체의 종류, 용매, 온도에 따라 다르며, c는 용매에 녹아있는 기체의 농도이다. 기체의 용해도는 보통 분젠 용해도계수(Bunsen solubility coefficient)로 나타내는데, 이는 주어진 온도에서 1기압(101.3 kPa)의 기체와 평형을 이루면서 단위 부피(보통 L)의 용매에 녹아있는 기체의 양을 표준 상태(0oC, 1기압)에서의 부피로 환산한 것으로, cm3/L의 단위로 나타낸다.
발행일 2013.05.21
Radon
Radon is an invisible, radioactive gas, thus hard to photograph. This granite ball reminds us that the source of most radon in people's basements is the decay of traces of uranium and thorium in granite bedrock. Scroll down to see examples of Radon. |
'Natural science > 화 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dium(Ra), 88-라듐 (0) | 2013.07.16 |
---|---|
Francium(Fr), 87-프랑슘 (0) | 2013.07.16 |
Astatine(At), 85-아스타틴 (0) | 2013.05.15 |
Polonium(Po), 84-폴로늄 (0) | 2013.05.15 |
Bismuth(Bi), 83-비스무트 (0) | 2013.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