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ving daily/조선왕조, 왕릉

조선 왕조 500년

나 그 네 2013. 8. 17. 13:44

조선 왕조 500년

one click으로 보는 조선왕조 가계도

 

 

제1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제26대

제27대

태조

정종

태종

세종

문종

단종

세조

예종

성종

연산군

중종

인종

명종

선조

광해군

인조

효종

현종

숙종

경종

영조

정조

순조

헌종

철종

고종

순종


 <클릭>하시면 상세한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조선 왕 가계도

조선임금들은 전주 이씨조선 태조의 후손들로 1392년부터 1897년까지 혈통이 이어졌다. 이후 나라의 이름을 대한제국으로 바꾸면서 1910년까지 황제가 되어 나라를 다스렸으며, 국권을 빼앗긴 이후로는 국정의 실권은 없지만 ‘황실의 수장’으로서의 자리가 세습되어 내려오고 있다.

본 가계도에서는 친아버지-친아들 관계만 표시하였으며, 유아기에 사망하여 특별한 호칭이 없는 사람도 제외하였다. 적자를 서자보다 위에 표시하였으며, 굵은 푸른색 선으로 둘러쌌다. 그 외의 순서는 태어난 시기를 따져 늘어놓았다.

[1] 태조의 자손들

다음은 조선을 건국한 태조의 자손들이다.

제1대
태조
    진안
대군
    의평군     제10대
연산군
    폐세자
    영창
대군
                   
    제2대
정종
    순평군         창녕
대군
    임해군
                   
    익안
대군
    금평군     제5대
문종
    제6대
단종
        양평군     제15대
광해군
    폐세자
                               
    회안
대군
    선성군         월산
대군
        돈수     의안군
                           
        종의군     제7대
세조
    덕종     제9대
성종
        신성군     제16대
인조
                               
        진남군     안평
대군
        제11대
중종
    제12대
인종
    원종     능원군
                               
        수도군     임영
대군
    제8대
예종
    인성
대군
    계성군     제13대
명종
    순회
세자
    순화군     능창군
                                       
        임언군     광평
대군
    덕원군     제안
대군
    안양군     복성군     인성군     능풍군
                                   
        석보군     금성
대군
    창원군     완원군     해안군     의창군
                           
        덕천군     평원
대군
    회산군     금원군     경창군
                       
        임성군     영응
대군
    봉안군     영양군     흥안군
                       
        도평군     화의군     진성군     덕양군     하원군     경평군
                           
        장천군     계양군     익양군     봉성군     하릉군     인흥군
                           
        정석군     의창군     이성군     덕흥
대원군
    제14대
선조
    영성군
                           
        무림군     한남군     경명군
               
        불노     밀성군     전성군
               
        지운     수춘군     무산군
               
        익현군     영산군
           
    제3대
태종
    양녕
대군
    영풍군     운천군
               
    덕안
대군
    효령
대군
    영해군     양원군
               
    무안
대군
    제4대
세종
    담양군
           
    의안
대군
    성녕
대군
       
    경녕군
   
    함녕군
   
    온녕군
   
    근녕군
   
    혜령군
   
    희령군
   
    후령군
   
    익녕군
   

[2] 인조의 자손들

다음은 조선의 열여섯 번째 임금인 인조의 자손들이다.

제16대
인조
    소현
세자
    제20대
경종
    진종     의소
세손
    문효
세자
                   
    제17대
효종
    제18대
현종
    제19대
숙종
    제21대
영조
    장조     제22대
정조
    제23대
순조
    익종     제24대
헌종
                                   
        연령군    
           
        은언군     상계군     회평군
               
        은신군     풍계군     영평군
               
        은전군     전계
대원군
    제25대
철종
               
    인평
대군
    복녕군     양원군
           
    용성
대군
    복창군     의원군     안흥군     이진익     이병순     흥녕군
                           
    숭선군     복선군     안계군     이진태     이병원     남연군     흥완군     이재면
                               
    낙선군     복평군     이병준     흥인군     제26대
고종
                   
    서자
네 명
    흥선
대원군
    이재선
           

[3] 고종의 자손들

다음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고종의 자손들이다.

제26대
고종
    제27대
순종
    이건
       
    완친왕     이우
       
    의친왕     이방
       
        이창
       
        이주
       
        이곤
       
        이광
       
        이현     제30대
이원
           
        이갑     이상우
           
        이석
       
        이환
       
        이정
       
   
   
    제28대
의민태자
    제29대
이구
       
 
 

출처- 위키백과

 

우리가 부르는 임금들의 이름... 조(祖), 종(宗)은 이름이 아니고 묘호(廟號)라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살아 있을 때의 이름이 아니고 죽은 후 이런 이름을 붙여 신주에 적어 종묘에 모시는것입니다. 따라서 묘호는 그 왕이 모셔진 종묘의 묘실이름이 됩니다.

고려말 원의 지배기에는 이러한 조, 종을 붙이지 못하게 하고 한단계 깎아서 죽고나서 왕으로 부르게 했습니다. 그리고 그 명칭도 충(忠)자를 쓰도록 강요하여 원에 대한 충성심을 보이도록 했습니다.

묘호를 붙이는 원칙은 조공종덕(祖功宗德), 혹은 위공칭조, 위덕칭종(爲功稱祖, 爲德稱宗) 즉 공이 있으면 조(祖)라 칭하고 덕이 있으면 종(宗)이라 칭한다는 것입니다. 임금이 죽으면 신하들이 어떻게 부를지를 의논해서 그 아들인 새 임금의 재가를 얻어서 묘호를 정하는 것입니다.

조(祖)가 종(趙)보다 높은 개념입니다. 따라서 새임금은 상주로서 죽은 자기 아빠의 묘호을 좀 근사하게 지으려는 욕구가 있겠지요. 그래서 묘호는 새 임금과 신하들이 신경전을 벌이는 부분입니다. 선왕의 업적에 대해서 아들과 신하들의 평가가 같을 순 없으니까요.

대개 건국 초대왕은 거의 예외 없이 태조라는 묘호를 받습니다. 그리고 망한 나라를 부흥한 임금도 조(祖)를 받습니다. 반란을 통해 왕이 되었거나 직계가 아닌 방계가 왕이 되었을때도 조를 주로 씁니다.

하지만 반란으로 #51922;겨난 임금은 옛날 세자 시절의 대군에서 한 등급 깎여 군으로 불리다가 묘호 챙겨줄 놈 없으니 죽고 나서도 군이죠. 하지만 단종처럼 후에 신원이 되어 다시 명예 회복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안그랬으면 여전히 노산군으로 불렸겠죠.

하지만 묘호추증에 이런 원칙이 엄격하게 적용된 것은 아니 듯 합니다. 가령 중종은 반정으로 왕이 되었지만 종이고 고종도 끊어진 왕통을 방계가 이었지만 역시 종입니다. 반면 순조는 정상적으로 적장자 계승이 되었지만 조로 추증되었습니다.

그냥 신하들이 새 임금 눈치 봐가며 적당히 붙여 준 모양입니다. 때로는 묘호 추증이 신하들의 새 임금에 대한 아부용 소재가 되기도 해 전혀 가당찮은 이름이 붙기도 합니다. 역대 왕과의 업적을 비교해서 납득할 만한 이름을 붙여야 하지만 정치가들이 하는 일이야 뻔하지요.

또한 일단 붙여진 묘호가 나중에 바뀌기도 합니다. 인조는 원래 열종(烈宗)이었지만 그 아들인 효종이 그렇게 바꾸었고 영조, 정조도 원래 영종, 정종이었지만 대한제국 수립 후 한 단계 격상해서 바꾼 것입니다.

또 새 임금이 왕이 되지 못하고 죽은 자기 아빠를 추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성종은 아빠인 의경세자를 덕종으로, 인조는 정원군을 원종으로, 정조는 사도세자를 장조로, 헌종은 효명세자를 익종으로 추증했습니다.

사도세자는 왕도 못된 주제에 아들 끗발로 종도 아닌 조를 받았으니 예나 지금이나 상주 하나는 잘 두고 볼 일입니다.

군, 대군은 왕의 아들인 왕자를 부르는 이름입니다. 왕자 중 왕비 소생의 적자는 대군, 후궁 소생의 서자는 그냥 군으로 부릅니다.(딸은 공주와 옹주로 구분됩니다) 그리고 대군이든 군이든 그 후손들은 왕족으로서 계속 군으로 불리다가 5대가 지나면 군호를 상실합니다.

대원군은 왕의 아버지를 부르는 이름입니다. 왕은 세습되니까 왕의 아빠는 당연히 왕이어야 하지만 간혹 왕통이 끊어져 방계가 왕이 되는 경우에 새로 즉위한 왕의 아버지를 대원군이라 불렀습니다. 왕의 장인은 부원군이라고 하죠.

 
 ~~~~~~~~~~~~~~~~~~~~~~~~~~~~~~~~~~~~~~~~~~~~~~~~~~~~~~~~~~~~~~~~~~~~~~~~~~~~~~~~~~~
 

 (조),(종),(군)의 차이점.............................

 

고려시대 왕을 보면,  태조 왕건을 비롯해 조, 종을 쓴 것을 볼수 있습니다. 그러나 원 간섭기때부터 공민왕 처럼조, 종을 붙일수 없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조선이 새로 건국되고, 태조 이성계부터 조나 종을 다시 쓰게 됩니다.

 

 조선왕조 임금 명을 살펴보면, 태조, 태종, 연산군등 조,종,군이 붙었다는 걸 알수 있습니다. 이것을 붙이는데도 일정한 기준이 있습니다. 우선 왕이 오르자 마자 태조, 태종 이렇게 붙이진 않습니다. 연산군이나 광해군 처럼 왕의 형제나 종친부등에게 붙이는 ~군으로 왕위에 올랐다가 후에 그 왕이 죽거나, 왕위를 물려준 후에, 신료들의 일정한 평가를 통해 붙여지게 되는 것이랍니다. 이것을 묘호(廟號)라고 합니다.

 

 묘호는 조(祖)와 종(宗), 두가지로 분류됩니다. 이 분류기준은 공(功)과 덕(德)입니다. 쉽게 말해서 공->조 , 덕->종.. 이렇게 분류를 합니다.

 - 혼란기에 국가를 세운다거나, 혼란기에 빠진 국가를 중흥시켜 찬란한 업적을 남긴 공(功)을 기려 조(祖)를 붙입니다. 예를 들자면, 조선 1대왕 태조를 들수 있습니다. 태조 이성계는 고려말 혼란스러웠던 나라를 바로 잡고 조선이라는 새로운 나라를 세웠습니다. 이에 신하들은 이 공(功)을 높게 기려, 이성계가 왕위를 내어준후 태조라는 묘호를 붙이게 됩니다.

 - 선왕(선대왕)이 세운 문화적, 정치적 업적을 이어받아 나라에 큰 공헌을 한 임금에게는 이 덕(德)을 높게 사 종(宗)을 붙입니다. 예를 들어 태종이 조선발전의 기반을 닦았다면, 세종은 이를 이어받아 조선문화의 꽃을 피웠다고 할수 있겠습니다.

 

 그외에 보면, 연산군이나 광해군 처럼, 군(君)이 붙은 임금도 볼수 있습니다. 앞에서 말씀드렸다 시피, 군(君)은 왕의 형제나 종친부에 붙이던 것입니다. 다시말해, 임금의 자리에 올랐다가, 중간에 폐위되어 나온 왕을 말합니다. 연산군도 갑자사화를 통해 폐위된 왕이므로, 조나 종을 붙이지 않고, 연산군이라는 이름 그대로 쓰이게 됩니다.

 

 조나 종으로 정해졌다가 후에 바뀐 일도 있습니다.

 - 조선왕조실록 '예종실록'에 처음에 세조를 신종, 성종, 예종으로 묘호를 올렸으나 예종이 " 대행대왕이 국가를 다시 일으켜 세운 공을 일국의 신민으로서 누가 알지 못하는가?" 라고 말해, "세조" 임금이 되었다고 합니다.

 - 조선 선조임금은 원래 선종 이었으나, 임진왜란의 국난을 이겨낸 공이 커서, 후대에 선조로 바뀌었습니다.

 - 영조는 원래 영종이었으나, 유학을 진흥시킨 공이 커서 영조라고 불렸고, 정조와 순조도 원래 정종,순종이었으나, 천주교로 부터 유학을 지킨 공이 인정되어 정조, 순조로 불리게 되었답니다.

 

 1. 태조

1. 태조   

태조

  • 1355-1408
  • 재위기간 : 1392.7 - 1398.9 (6년 2개월)
  • 부인 3명
  • 자녀 : 8남 5녀

신의왕후 한씨

6남 2녀

진안대군(방우)

제 2대 정종 (영안대군, 방과)

익안대군 (방의)

회안대군 (방간)

제 3대 태종 (정안대군, 방원)

덕안대군 (방연)

경신공주

경선공주

신덕왕후 강씨

2남 1녀

무안대군 (방번)

의안대군 (방석)

경순공주

?

2녀

의령옹주

숙신옹주

 

 

2. 정종  

정종

  • 1357 - 1419
  • 재위기간 : 1398.9 - 1400.11 (2년 2개월)
  • 부인 8명
  • 자녀 : 15남 8녀

정안왕후

자식없음

 

성빈 지씨

2남

덕천군

도평군

숙의 지씨

3남 1녀

의평군

선성군

임성군

함양옹주

 

 

3. 태종  

태종

  • 1367 - 1422
  • 재위기간 : 1400.11 - 1418.8 (17년 10개월)
  • 부인 12명
  • 자녀 : 12남 17녀

원경왕후 민씨

4남 4녀

양녕대군

효령대군

제 4대 세종 (충녕대군)

성녕대군

정순공주

경정공주

경안공주

정선공주

효빈 김씨

1남

경녕군

신비 신씨

3남 6녀

함녕군

온녕군

근녕군

정신옹주

정정옹주

숙정옹주

숙녕옹주

숙경옹주

숙근옹주

 

 

4. 세종  

세종

  • 1397-1450
  • 재위기간 : 1418.8 - 1450.2(31년 6개월)
  • 부인 6명
  • 자녀 : 18남 4녀

소헌왕후 심씨

 8남2녀

 제4대 문종

 제7대 세조(수양대군)

 안평대군

 임영대군

 광평대군

 금성대군

 평원대군

 영웅대군

 정소공주

 정의공주

 영빈 강씨

 1남

 화의군

 신빈 김씨

 6남

 계양군

 의창군

 밀성군

 익현군

 영해군

 담양군

 

 

5. 문종  

문종

  • 1414 - 1452
  • 재위기간 : 1450.2 - 1452.5 (2년 3개월)
  • 부인 3명
  • 자녀 : 1남 2녀

현덕왕후 귄씨

1남1녀

 제6대 단종

 경혜공주

 귀인 홍씨

 

 

 사측 양씨

 1녀

 경숙옹주

 

 

6. 단종  

단종

  • 1441 - 1457
  • 재위기간 : 1452.5 - 1455. 윤6 (3년 2개월)
  • 부인 1명
  • 자녀 : 없음

 정순황후 송씨

 

 

 

 

 

7. 세조  

세조

  • 1417 - 1468
  • 재위기간 : 1455 윤6월 - 1468년 9월 (13년 3개월)
  • 부인 2명
  • 자녀 : 4남 1녀

 정희왕후 윤씨

2남1녀

 덕종(의경세자)

 제8대 예종(해양대군)

 의숙공주

 근빈 박씨

 2남

 덕원군

 창원군

 

 

8. 예종

예종

  • 1450 - 1469
  • 재위기간 : 1468. 9 - 1469. 11 (1년 2개월)
  • 부인 2명
  • 자녀 : 2남 1녀

장순왕후 한씨

1남

 인성대군

 안순왕후 한씨

 1남1녀

 제안대군

 현숙공주

 

 

9. 성종  

성종

  • 1457 - 1494
  • 재위기간 : 1469. 11 - 1494. 12 (25년 1개월)
  • 부인 12명
  • 자녀 : 16남 12녀

공혜왕후 한씨

자식 없음

 

 정현왕후 윤씨

 1남1녀

 제 11대 중종(진성대군)

 신숙공주

 폐비 윤씨

 1남

 제 10대 연산군

명빈 김씨

1남

 무산군

귀인 정씨

2남1녀

 안양군

 봉안군

 정혜옹주

귀인 권씨

1남

 전성군

귀인 엄씨

1녀

 공신옹주

숙의 하씨

1남

 계성군

 

 

10. 연산군  

연산군

  • 1476 - 1506
  • 재위기간 : 1494.12 - 1506.9
  • 부인 2명
  • 자녀 : 4남 2녀

 폐비 신씨

2남1녀

 폐세자

 창녕대군

 ? 공주

 ?

 2남1녀

 양평군

 돈수

 ?옹주

 

 

11. 중종  

중종

  • 1488 - 1544
  • 재위기간 : 1506.9 - 1544.11 (38년 2개월)
  • 부인 10명
  • 자녀 : 9남 11녀

단경왕후 신씨

자식없음

 

장경왕후 윤씨

 1남1녀

 제12대 인종

 효혜공주

 문정왕후 윤씨

 1남4녀

 제13대 명종(경원대군)

 의혜공주

 효순공주

 경현공주

 인순공주

경빈 박씨

1남2녀

 복성군

 혜순옹주

 혜정옹주

희빈 홍씨

2남

 금원군

 봉성군

창빈 안씨

2남1녀

 영양군

 덕흥대원군(선조아버지)

 정신옹주

숙의 홍씨

1남

 해안군

숙의 이씨

1남

 덕양군

 

 

12. 인종  

인종

  • 1515 - 1545
  • 재위기간 : 1544.11 - 1545.7 (9개월)
  • 부인 2명
  • 자녀 : 없음

 인성왕후 박씨

 

 

 귀인 정씨

 

 

 

 

13. 명종  

명종

  • 1534 - 1567
  • 재위기간 : 1545.7 - 1567.6 (22년)
  • 부인 1명
  • 자녀 : 1남

 인순왕후 심씨

1남

 순회세자

 

 

14. 선조  

선조

  • 1552 - 1608
  • 재위기간 : 1567. 7 - 1608. 2 (40년 7개월)
  • 부인 8명
  • 자녀 : 14남 11녀

 의인왕후 박씨

자식없음

 

 인목왕후 김씨

1남1녀

 영창대군

 정명공주

 공빈 김씨

2남

 임해군

 제15대 광해군

인빈 김씨

4남5녀

 의안군

 신성군

 원종(정원군, 인조 아버지)

 의창군

 정신옹주

 정혜옹주

 정숙옹주

 정안옹주

 정휘옹주

순빈 김씨

1남

 순화군

 

 

15. 광해군

광해군

  • 1575 - 1641
  • 재위기간 : 1608.2 - 1623.3 (15년 1개월)
  • 유배기간 : 18년
  • 부인 2명
  • 자녀 : 1남 1녀

 문성군부인 유씨

1남

 질 (폐세자)

 숙의 윤씨

 1녀

 ?

 

 

16. 인조  

인조

  • 1595 - 1649
  • 재위기간 : 1623.3 - 1649. 5 (26년 2개월)
  • 부인 3명
  • 자녀 : 6남 1녀

 인렬왕후 한씨

4남

 소현세자

 제17대 효종(봉림대군)

 인평대군

 용성대군

장렬왕후 조씨

자식없음

 

귀인 조씨

2남1녀

 승선군

 악선군

 효명옹주

 

 

17. 효종  

효종

  • 1619 - 1659
  • 재위기간 : 1949.5 - 1659.5 (10년)
  • 부인 2명
  • 자녀 : 1남 7녀

 인선왕후 장씨

1남6녀

 제18대 현종

 숙신공주

 숙안공주

 숙명공주

 숙휘공주

 숙정공주

 숙경공주

 안빈 이씨

 1녀

 숙녕옹주

 

 

18. 현종  

현종

  • 1641 - 1674
  • 재위기간 : 1659.5 - 1674.8 (15년 3개월)
  • 부인 1명
  • 자녀 : 1남 3녀

 명성왕후 김씨

1남 3녀

 제19대 숙종

 명선공주

 명혜공주

 명안공주

 

 

19. 숙종  

숙종

  • 1661 - 1720
  • 재위기간 : 1674.8 - 1720.6 (45년 10개월)
  • 부인 6명
  • 자녀 : 3남 6녀

 인경왕후 김씨

3녀

 女(일찍죽음)

 인현왕후 민씨

자식없음

 

 인원왕후 김씨

자식없음

 

희빈 장씨

1남1녀

 제20대 경종

 성수(女)

숙빈 최씨

1남2녀

 영수(女)

 제 21대 영조(연잉군)

명빈 박씨

1남

 연령군

 

 

20 경종  

경종

  • 1688 - 1724
  • 재위기간 : 1720.6 - 1724.8 (4년 2개월)
  • 부인 2명
  • 자녀 : 없음

 단의왕후 심씨

자식없음

 

 선의왕후 어씨

 자식없음

 

 

 

21. 영조  

영조

  • 1694 - 1776
  • 재위기간 : 1724.8 - 1776.3 (51년 7개월)
  • 부인 6명
  • 자녀 : 2남 7녀

정선왕후 서씨

자식없음

 

 정순왕후 김씨

 자식없음

 

 정빈 이씨

 1남1녀

 진종(효장세자)

 화순 옹주

영빈 이씨

1남3녀

 장조(장헌<사도>세자)

 화평옹주

 화협옹주

 화안옹주

귀인 조씨

1녀

 화유옹주

숙의 문씨(폐)

2녀

 화령옹주

 화길옹주

 

 

22. 정조  

정조

  • 1752 - 1800
  • 재위기간 : 1776.3 - 1800.6 (24년3개월)
  • 부인 3명
  • 자녀 : 2남 1녀

효의왕후 김씨

자식없음

 

숙빈 임씨

1남

 문효세자 (일찍 죽음)

 경빈 박씨

 2남1녀

 제8대 순조

 숙선옹주

 

 

23. 순조    

순조

  • 1790 - 1834
  • 재위기간 : 1800.7 - 1834.11 (34년4개월)
  • 부인 2명
  • 자녀 : 1남 5녀

 순원왕후 김씨

1남4녀

 익종(효명세자)

 ? (일찍죽음)

 명온공주

 복온공주

 덕온공주

 숙의 박씨

 1녀

 영온공주

 

 

24. 헌종    

헌종

  • 1827 - 1849
  • 재위기간 : 1834.11 - 1849.6 (14년 7개월)
  • 부인 3명
  • 자녀 : 1녀

효현왕후 김씨

(자식없음)

 

 효정왕후 홍씨

1녀

 일찍죽음

 궁인 김씨

 

 

 

 

25. 철종    

철종

  • 1831 - 1863
  • 재위기간 : 1849.6 - 1863.12 (14년 6개월)
  • 부인 8명
  • 자녀 : 1녀

철인왕후 김씨

자식없음

 

 귀인 박씨

 자식없음

 

 귀인 조씨

 자식없음

 

 

 

26. 고종    

태종

  • 1852 - 1919
  • 재위기간 : 1863.12 - 1907.7 (43년 7개월)
  • 부인 7명
  • 자녀 : 6남 1녀

 명성황후 민씨

 1남

 제27대 순종

 귀비 엄씨

 1남

 영친왕

 귀인 이씨

 2남

 완친왕

 육

 

 

27 순종

순종

  • 1874 - 1926
  • 재위기간 : 1907.7 - 1910.8 (3년1개월)
  • 부인 2명
  • 자녀 : 없음

순명효황후 민씨

 자식없음

 

 순정효황후 윤씨

 자식없음

 

 

 

 

 

 


| 고조선 | 기자조선 | 고구려 | 백제 | 신라 | 가락 | 발해 | 고려 | 조선 | 대한민국 |

 

연대

국 가

70만년

 


구석기 시작
신석기 시작



청동기 시작



철기 시작

 


6000

 


 


3000

 


 


2000

 


고조선(단군조선)
BC 2333 ~ BC 238

1000

 


500

 


400

 


300

 


200

 


150

 


북부여
BC239-BC58

100

 


BC 50

 


신라
BC 57
~
935

고려에
귀순


고구려
BC 37
~
668

신라에
멸망

0

 


백제
BC 18
~
660

신라에
멸망

AD 50

 


가락(가야)
42
~
532

신라에
귀순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500

 


550

 


600

 


650

 


700

 


발해
698
~
926

거란에
멸망


750

 


 


800

 


 


850

 


 


태봉
(후고구려)
890~918
고려에
멸망

900

 


후백제
892~935
고려에 멸망

고려
918
~
1392

950

 


 


1000

 


 


1050

 


 


1100

 


 


1150

 


 


1200

 


 


1250

 


 


1300

 


 


1350

 


 


1400

 


조선
1392 ~ 1910

1500

 


1600

 


1700

 


1800

 


1900

 


일제 강점기 1910 ~ 1945

미군 군정 1945 ~ 1948

1950

 


대한민국 1948 ~ 현재

현재

 



| 고조선 | 기자조선 | 고구려 | 백제 | 신라 | 가락 | 발해 | 고려 | 조선 | 대한민국 |


새로고침꾸미기

'Living daily > 조선왕조, 왕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범(철종)에 대하여......  (0) 2013.08.17
'조(祖)'와 '종(宗)'의 구분 기준과 그 배경   (0) 2013.08.17
조선연대표  (0) 2013.05.01
조선의 열두 사화(士禍).  (0) 2013.05.01
사화 & 환국  (0) 2013.05.01